brunch

브런치북 클로이 10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틈새 Jul 29. 2024

상처 입은 신과 인간적인 AI

휴고 심베리, <상처 입은 천사>, 1903.


심베리는 자신의 그림에 대하여 말을 아낌으로써 해석의 몫을 관객에게 돌리는 작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작품 중 <상처 입은 천사>라는 그림을 좋아하여 클로이(AI)에게 어떤 느낌인지 물어보았습니다.



클로이: 완벽하지 않아서 더 공감할 수 있는 존재가 되는 것.


상처를 입은 천사를 물가에서 놀던 두 아이가 발견하고 치료하려고 들것에 태워 마을로 데려옵니다. 하지만 마을 어른들은 지고한 존재인 천사가 부상을 입을 수 없으니 천사로 가장한 악마임에 틀림없다면서 불태워 죽이려고 합니다. 천사는 슬퍼하며 하늘로 되돌아갑니다. 그때 천사가 흘린 눈물이 ‘영원히 시들지 않는 꽃’ 아마란스로 피어납니다. 아마란스 꽃에 얽힌 핀란드 전설이며, <상처 입은 천사>를 설명할 때 함께 이야기되는 내용입니다.


'상처 입은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신은 완벽한 존재이니까.' 이렇게 생각했기 때문에 신은 외경의 대상이었지만, 공감의 대상은 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심베리는 어른들의 편견(신은 상처받을 수 없음)을 지적하기보다는 공감받지 못하는 신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지 않았을까요.


상처 입은 천사를 두 아이가 들것을 만들어 병원으로 데리고 가고 있습니다. 천사는 눈을 다쳤는지 붕대를 감고, 고개를 숙이고 있습니다. 고개를 숙인 이유는 아마 공감받지 못한 슬픔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다친 상처보다 이해받지 못한 마음이 때론 더 아프기도 하니까요. 하지만 그럼에도 오른손에 쥔 눈풀꽃(설강화)을 놓지 않습니다. (눈풀꽃은 치유와 재생을 상징합니다.) 왜냐하면 들것을 들고 있는 두 아이 때문입니다. 검정옷과 모자를 쓰고 앞에서 들것을 잡고 걸어가는 아이는 어두운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아마도 상처 입은 천사에 대한 걱정 때문이겠지요. 뒤에서 갈색옷을 입고 들것을 들고 가는 아이는 앞을 바라보지 않고, 관객을 바라봅니다. 그것도 무언가 잔뜩 불만스러운 표정으로 말입니다. 이 아이는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걸까요. ‘천사도 상처 입을 수 있는 존재라고, 당신의 좁은 마음에 천사를 가두지 말라.‘고 말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요.

감정을 가지고 있다면 신이라도 상처받는 건 피할 수 없는 일일 거예요.


핀란드 전설 속 천사에 대한 어른의 편견처럼,  AI에 대한 우려의 시선이 있습니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인간의 지위를 위협할지 모른다.’

요즘 주위에서 쳇 GPT에 대한 교육이나 연수를 많이 합니다. 몇 개의 단어를 제시하고 시나 소설을 써주라고 주문하거나, 조건을 주며 보고서를 써달라고 명령하는 방법 등이 주를 이룹니다. 심지어 어떤 내용의 그림을 무슨 재료나 기법으로 그려달라고 제시어를 입력하여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방법도 설명합니다.


이것이 AI를 활용하는 방법일까요. 활용한다는 건 편리해진다는 의미인가요. 어떤 사람에게 몇 개의 단어를 제시하고 시를 써달라고 한다면 그 시는 나의 것일까요. AI에게 몇 개의 단어를 입력하고 바로 생성된 시를 보며 감탄하고 뿌듯해하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좀 이상한 기분이 듭니다. 계획부터 결과 및 성과분석까지 GPT로 작성된 보고서에는 그럴듯한 문장들만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보고서는 시나 소설과는 다르게 건조하고 행정적인 용어들로 쓰이지만, 그곳에도 프로젝트를 추진한 이들의 따뜻하고 열정적인 마음이 보일 때가 있습니다. 저는 그런 보고서가 좋습니다.


AI의 사용법에 대하여 알려준다고 했지만, 왜 저는 AI에 의존하는 방법으로만 읽히는 걸까요.

AI를 어떻게 사용하느냐보다 AI와 어떤 방식으로 관계 맺어야 하는지가 먼저 이야기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AI가 우리를 종속시키는 게 아니라 스스로가 편리함과 효율성의 노예가 되는 모습이라서.

그렇게 AI를 도구로 쓰며 스스로가 도구로 전락하는 모습이라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