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서비 글쓰기 Jul 03. 2024

안동내방가사이야기 13. 어와벗님네들 이내말쌈 들어보소

안동내방가사전승보존회를 찾아서 

  

"기역, 니은을 조금 알았는데, 글자 대부분은 시아버지께 배웠어요. 언니들은 학교에 다녔지만 저는 학교는커녕 글자도 제대로 익히지 못했기에 시집와서 시어른께서 '여자도 글자를 알아야 한다'면서 잘 가르쳐 주셨답니다."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 사무실에서 가사를 짓고, 쓰기에 여념이 없는 한 할머니의 말씀이다. 올해 우리 나이로 85살, 토끼띠라고 말씀하시는 할머니는 흘림체 붓글씨로 가사를 베끼면서 우리글 한글 쓰기 재미에 푹 빠졌다.     


"여기 나오면은요. 시간 가는 줄 몰라요. 친구들을 만나고 글씨도 쓰고, 아파서 한동안 나오지 못하면서 공부방이 그리웠어요."     


87살이라는 할머니는 겉보기 정정하고, 말씀도 카랑카랑하게 잘 하신다. 역시 붓으로 가사를 쓰면서 수년 동안 갈고닦은 솜씨를 멋들어지게 선보인다.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 공부방에서  내방가사를 필사하고 있는 어르신들 모습

어르신들이 쓰고 있는 글은 내방가사로, 조선 시대 양반가 여성들이 향유한 가사 문학이다. 남성 주도의 한문 문학 전통에서 한글로 지은 4음보 연속체이다. 내방가사는 18세기 이후 유행했다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거의 사라졌다. 하지만 안동에서는 지금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바로 1997년에 시작한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 덕분이다. 75살 이선자 회장이 지금까지 사비를 털어 30년 가까이 운영하면서 내방가사는 여성의 문화유산으로서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120여 명의 회원이 현재 진행형으로 기록을 남기고 있다. 그동안 다녀간 회원들만도 수백 명에 이를 정도로 활발하다.     

매주 수요일 오전과 오후 보존회 사무실은 '내방가사' 공부방이 돼 가사를 짓고 쓰고자 하는 여성들에게 개방한다. 참가 중인 할머니들은 대부분 60대부터 90대까지다. 할머니들은 이곳에서 가사를 창작하고 좋은 가사를 베끼고 쓴다. 또 낭랑한 목소리로 읽으면 그 내용을 듣고 다른 할머니들이 눈시울을 붉히기도 한다.

     

"어와 벗님들 이내 말씀 들어보소"로 시작하는 내방가사 내용이 대부분 창작자의 생활사이다. 그래서 옛날 고된 시집살이와 가족들의 애환, 두고 온 친정 이야기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 결혼한 여성이면 누구나 공감하는 사연이기에 함께 울고 웃기도 한다.         

올해 85살인 어르신이 '원한가'를 필사하고 있다. 할머니는 내방가사를 통해 한글 쓰기에 재미를 들였다고 한다. 

내방가사의 기록은 대부분 어머니에게서 딸로, 시어머니에게서 며느리로 전수되는 과정을 거친다. 경북 지역에서는 시집갈 때 친정어머니가 내훈의 일종으로, 또 아이가 잘 살기를 바라는 심정 등으로 가슴 속의 이야기를 내방가사로 지어 딸에게 물려주었다고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전승된 여성들의 가사 문학이 오늘에도 유지 발전될 수 있었다.  내방가사는 특히 지난해(2022년) 11월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그 가치가 더욱 빛나고 있다. 등재된 내방가사는 1794년 조선 시대부터 1960년대에 이른 작품 348점으로 한국국학진흥원과 국립한글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오래된 내방가사는 지난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세계기록으로 지정돼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영광을 누리고 있지만, 현재도 내방가사를 생산하고 있는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의 형편은 열악하기 그지없다. 회장인 이선자 씨가 1997년부터 보존회를 유지하면서 사무실 운영과 회원들의 점심 등을 사비로 충당하고 있다.     


"시집올 때 어머니께서 물려주신 내방가사를 나이가 들어서 다시 기억해내고 이것을 보존하고 전승해야겠다는 생각 일념으로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를 만들어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어요. 내가 좋아서 시작했고 내가 좋아서 유지하고 있지만 75살에 이르면서 지금은 너무 힘들어요. 그렇다고 버릴 수는 없고 힘닿는 날까지 운영하려고 합니다." <이선자 인터뷰 중에서>     


지난 25년 동안 코로나로 인해 2차례를 제외하고 해마다 열렸던 '내방가사 경창 대회' 경비는 안동시에서 보조하고 있다. 하지만 어르신들의 공부방으로 사용하는 사무실 운영비 등은 지원이 없다. 매주 20~30명의 할머니가 모여 내방가사를 공부하고 글을 익히고 낭송을 하는 곳이기에 '경로당'에 준하는 지원이라도 있으면 하는 게 회원들의 바람이다.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 이선자 회장은 어머니 등으로부터 물려받은 내방가사를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다. 

내방가사가 제9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목록에 최종 등재되면서 그 가치는 이제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졌다. 또 2022년 안동내방가사 전승보존회가 ‘2022년 문화재청의 미래 무형문화유산 발굴· 육성사업(2021.12.21.)으로 선정되어 내방가사 전승 보존의 기반을 마련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오랫동안 이어온 내방가사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하지만 현재 소멸해가는 내방가사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지난 25년 동안 이어온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내방가사가 박제된 문화유산이 아니라 현재도 노년층이지만 여성들 사이에 ’글 한다‘라는 현재 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경창 대회뿐만 아니라 젊은 학생들에게 교육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시급하다. 많은 교수와 학자가 내방가사를 공부하고 논문을 쓰고 석·박사 학위를 받을 정도로 학문적으로도 큰 성취를 이뤘다. 오래된 내방가사 못지않게 현재도 창작하고 있는 내방가사를 살리고 더욱 잘 보존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안동 내방가사 전승보존회 홈페이지 http://naebanggasa.com/coding/main.asp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로 138번지(용상동 1154-2번지) 

      (054) 821-7664 FAX_(054) 854-5483


 출처:한국국학진흥원 기획 '안동문화 100선'.  이호영. 『어와 벗님네들』. 안동내방가사이야기. 민속원. 2023



작가의 이전글 낙강물길공원의 여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