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멀똑 Mar 04. 2024

역멘토링은 과연, 멘토링 만큼 해낼 수 있을까

2화 : 멘토링과 역멘토링에 대하여

저는 멘토라는 단어를 그닥 좋아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처한 상황과 환경이 다른데 뭐 누군가가 무언가에 대해 이래저래 말해준다고 한들 그게 해결이 될까 하는 근본적인 불신의 마음이 있는 것 같고요, 결국 인간은 스스로 무언가 해결해 나갈 수 밖엔 없겠다는 믿음이 강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홀로 서는 장면들이 인생 살면서 반드시 존재한다라는 것이지요. 좀 슬프지만 ㅜ 진실..




그럼에도 멘토링을 통해 만난 무수히 많은 인연들이 저에겐 매우 소중한 인연들입니다. 역설적이게도 말이죠. 효율이 가장 우선인 비즈니스 조직에서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빠르게 조직에 적응하는 것이 필요했기에 요런 취지의 멘토링을 적극 장려하고 시행했을 텐데요, 저는 이런 기회를 인맥을 넓히고 식비(?)를 아끼는 기회로 삼았던 것 같습니다 ㅎ


업무상 전혀 관계없는 임원분들은 아주 편한 형님들이 되었고, 함께한 멘티들과도 좋은 관계를 맺은 덕분에 업무상 적절한 도움을 받기도 했드랬습니다, 이런 게 멘토링의 주효한 목적이라 한다면 사내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그 관계가 강력한 정서적 지지가 가능한 수준까지 깊어진다면 이후에 서로 배우고 성장하는 것은 덤이지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


그럼, 역멘토링은 어떨까요? (리버스 멘토링이 더 자연스럽겠다 싶기도 합니다만). 배움을 받아야 하는 사람에게 배운다는 것. 그만큼 현실 비즈니스의 상황적 변화가 매우 역동적이기도 하거니와,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재 기업들에겐 그들 스스로에게 답이 있을거라는 절박함이 만들어낸 결과가 아닐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여튼, 임원들이 젊은 신입사원들에게 묻고, 배우고, 경험한다는 취지가 강한 이 활동들은, 대부분 최신의 트렌드, 젊은 고객들의 세태에 대한 입체적인 피드백을 얻는등의 순기능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반면, 이것에는 의도치 않은 역기능 또한 있기 때문에, 설계에 대한 섬세함이 요구 되기도 하겠습니다.  


조직에서의 위치가 높을 수록, 가지고 있는 권한과 책임이 많을 수록, 젊은 멘토를 향한 매우 촘촘한 세심함이 필요하겠단 이야기 입니다. 이건 뭐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나이가 많고, 특히나 남성인 경우, 이것들에 대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할 것인데요, 한국사회에서 한번도 소수자로서 차별의 대상이 되어 본적이 없는 주류인 중년의 남성들은(저를 포함해서) 조금 억울해도 어쩔 수가 없겠습니다 ㅎ


역멘토링이라고도 하는, 리버스 멘토링에 대한 경험은 개인적으로 조금 부분적입니다만, 무척이나 운영에 있어서 섬세함이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 여러 기사들이나 사례에서도 언급되어 있듯이 나이 많은 멘티가 멘토에게 대하는 태도가 무척 중요해 보이는데요, 가르치는 것을 반드시 배우게 된다는 공식은 버려두고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의견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관계 맺고 성장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누군가에게 무엇을 배운다는 것은 말의 의미 그대로, 경험을 확장시키고, 앎음을 넓혀가는 매우 바람직한 활동이라 하겠습니다. 때문에 역멘토링이 멘토링을 뛰어 넘으려면, '역'이란 단어가 가진 무게감을 나이든 멘티들이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태도가 우선 필요할 것이고, 그 태도를 기반으로 한 섬세하고, 치밀한 접근이 함께 해야 겠단 생각이 듭니다. 


출처 : https://www.eli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505


이전 01화 타고나는 리더 vs 개발되는 리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