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금요일 Apr 03. 2023

지문 없는 여자

내가 나라고 인증을 못해



 오늘도 문이 열리지 않는다. 다시 손가락을 지문인식기에 밀어 넣었다. 삐삐삐. 역시 인식되지 않는다. 어쩔 수 없다. 또 누군가가 올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아이 둘을 연달아 낳고 키우면서 가장 먼저 변한 건 내 손이었다. 여자는 손과 목에서 나이를 읽을 수 있다고 누가 말했나? 정신이 쏙 빠지는 연년생 육아로 세월을 정통으로 맞은 결과, 지문이 사라졌다. 누가 보면 엄청나게 대단한 헌신적인 육아를 했겠네 하겠지만 원인은 단 하나, 손 씻기였다. 팬데믹이 오고 나서야 모두들 손 씻기에 집중했지만 팬데믹 이전에 손 씻기와 손소독티슈를 놓지 않은 트렌드리더가 바로 나다. 지금 돌이켜 생각해 보면 왜 그랬을까 싶지만 당시에는 아기들을 돌보는데 내 손이 깨끗한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다. 보이지 않는 세균이 아기들에게 갈까 봐.


"엄마, 따가워!"

 아이들 몸에 로션을 발라줄 때면 내 까슬까슬한 손이 미안했다. 양손에 아이들 손을 잡고 길을 걸어 다닐 때도 거친 손이 미안했고, 귀여운 얼굴을 어루만지고 싶을 때도 한 번을 더 참았다. 무엇보다 내 거친 손으로 인한 불편함이 아이들에게 닿는 것이 싫었다. 언젠가 눈곱이 있길래 떼주려고 했다가 엄마 손 때문에 너무 아프다며 아이가 울었다. 속으로 나도 같이 울었다.


 손바닥을 아래로 두 손을 쫙 펴면 관절 부분의 주름이 자글자글하다. 밭일하시는 우리 외할머니 손이 이랬던 것 같은데. 그 손을 뒤집어 손가락 아래부터 위로 쭈욱 보자면 세로 주름이 졌고, 피아노 건반이 닿는 손가락의 끝부분은 갈라져있다. 병원에도 가보고 온갖 연고를 다 발라봤다. 의사 선생님의 해결책은 손에 물이 절대 안 닿게 하는 것이었고 맘카페의 해결책은 깊게 갈라진 상처에는 우르고(urgo)만 한 게 없다는 것인데 내 결론은 후자 쪽이었다. 우르고 만세.


동사무소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등본을 떼면 수수료가 없단다. 등록된 지문이 일치하지 않기는커녕, 지문 자체가 인식되지 않는다. 비치된 물티슈로 손가락을 벅벅 닦아봐도 화면 속 검정 부분이 짙어지지 않는다. 번호표를 뽑고 하염없이 기다리다 수수료를 내고 등본을 뗀다. 그뿐인가. 휴대폰 등 전자기기와 금융, 보안 관련 지문등록 역시 어림없다. 카페나 식당에 있는 키오스크 터치가 되는 것에 감사할 따름.









 복직 후 첫 출근에 지문인식이 안되어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 인사팀에 가서 다시 지문등록을 했다. 담당자는 열손가락을 다 등록해 주었다.

"그래도 안되면 어쩌죠? 저 같은 사례가 있었나요?"

"열손가락 중 한 개는 되겠죠."

아니, 난 안되거든.

전화를 걸자 담당자는 난처한 듯 재차 확인했지만 내 손가락들은 단호했다. 마치 이깟 인식기에 내가 묻어나겠냐며 도도하게 물티슈 마저 흡수해 버렸다. 담당자는 마지못해 사원증을 등록해 주었다. 그 뒤로 언제나 꼭 사원증을 가지고 다녀야 했다. 혹자는 지문 찍는 것도 찝찝하다고 사원증으로 대체되어 좋겠다고 하지만 덩렁깜빡이인 나는 늘 불안하다.








 오늘도 문이 열리지 않는다. 다시 가방을 샅샅이 뒤져본다. 사원증을 어디에 두었더라. 모르겠다. 하는 수 없다. 또 누군가가 올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작가의 이전글 역세권 신축 아파트를 거절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