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담요 Aug 26. 2021

Peach, Peach, Peach.

83-1번지 산책

잘 사는 여름


무조건 담으세요 이렇게나 많이

시원한 이름값 하는 복숭아


이해하기 힘든 동물의 본능 

기름진 땅을 찾는 발의 감각


나는 오늘도 기다려요

Peach Peach Peach

so sweet

so cold


-


오늘의 콜라주 재료:

-복숭아 주스 팩 

-생각하는 친구의 사진

-예전에 찍어놓은 삼청동 골목사진

-마트 전단지, 카탈로그 

-메모해놓은 글귀


복숭아가 한창 맛있는 계절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한 친구에게 "산다는  건(다니카 슌타로처럼)"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무더운 여름을 복숭아 한 조각으로 버텨내는 것"이라고 했어요. 이 말이 계속 머리에 맴돌아 집에 있는 복숭아 주스를 씻어 말려 놓고, 분혹생과 초록색에 어울리는 사진들을 추려냈어요.   


복숭아 한 조각을 먹다 보면 많은 생각들이 떠올라요.

물이 뚝뚝 흐르는 부드러운 과육, 

가끔씩 이에 끼는 섬유질, 

시고 딱딱해서 가까이 가기도 힘든 씨. 


그 하나의 풍요로운 맛을 위해 얼마나 기름진 땅과 얼마나 적절한 습도와 온도가 필요했을까 생각하게 되기도 하고, T. S. Eliot의 <프루프록씨의 연가>에서 복숭아를 "감히" 먹을까 말까 주저하는 프루프록씨의 말도 생각나고, 복숭아가 너무 맛있어 보내주고 싶었다는 누군가의 정다운 말도 생각나고요. 


그러니까 이렇게나 많이 담으세요, 

복숭아만큼 축축하고 시원하고 달콤한 여름을. 


매거진의 이전글 POEM WILL BE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