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문 Apr 06. 2024

처음 앱 기획하며 발견한 놓치기 쉬운 디테일들

앱기획(권한 동의, 버전, 뒤로 가기, 백그라운드, 재설치 등)

이전 글: 성장을 위한 역기획 스터디 회고
다음 글: 사용자 경험(UX)을 위한 다양한 사례들과 시각




Intro

평소, 웹사이트와 어드민 페이지와 같은 웹 기획을 주로 진행해 왔습니다. 그러던 중, 새로운 사업의 일환으로, 앱 서비스 기획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앱 기획을 진행하면서, 큰 틀에서는 웹 기획과 유사해 보였지만, 디테일한 부분에서 신경 쓰지 않으면 쉽게 간과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현재, 기획 과정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직접 경험하며 배운 것들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고 공유하려 합니다. :)






앱 기획이란?

제가 이 글에서 말씀드리고 싶은 (APP) 기획이란, 안드로이드,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기획입니다. 


개인적으로, 웹(Web) 기획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구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각각의 차이와 특성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사용자 경험(UX), 개발 도구, 그리고 서비스의 운영과 배포 방법 등 고려해야 할 점들이 다양합니다.




나의 디테일

처음 기획을 시작했을 때, 이런 차이점들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해서 여러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앱 기획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디테일은 정말 무궁무진하지만, 제가 경험한 시행착오들 위주로 정리해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권한 동의

앱 기획 시,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OS 정책으로 인해 알림, 이미지, 마이크, 카메라 등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명확한 권한 동의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앱이 사용자의 시스템 및 개인 정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획 시 고려 사항

1. 사용자의 데이터나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2. 사용자의 경험을 해치지 않기 위해 어떤 시점에 어떤 문구로 권한 동의를 요청해야 하는지


버전 업데이트

앱은 스토어를 통해 업데이트되므로, 사용자가 항상 최신 버전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각 OS 버전에 맞게 앱을 최적화하고,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심한 버전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획 시 고려 사항

1. 앱 업데이트 시, 새 기능과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사용자에게 어떻게 안내할 것인지

2.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강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 경험(UX)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


뒤로 가기

안드로이드는 하단의 '뒤로 가기' 버튼을 통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반면, 애플은 화면을 스와이프 하는 동작으로 뒤로 갈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웹 브라우저의 '뒤로 가기' 기능보다 접근성이 더 높기 때문에 세심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기획 시 고려 사항

1. 서비스의 '뒤로 가기' 기능이 각 운영체제(OS) 별로 사용자 경험(UX)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2. 뒤로 가기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화면의 깊이(레벨)가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지는 않는지

    (예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이전 동작으로 되돌리기)

3. '뒤로 가기' 기능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상황인지 여부


백그라운드

모바일 기기는 PC에 비해 하드웨어 성능이 낮고, 운영체제의 최적화 및 작은 화면 UI 때문에 멀티태스킹에 제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려고 할 때 기존에 사용하던 앱은 백그라운드로 넘어가며, 이 과정에서 운영체제에 의해 앱이 종료될 수도 있습니다.

기획 시 고려 사항

1. 위치 기반 서비스, 음악 재생, 타이머와 같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동작이 필요한 기능이 있는지

2. OS에 의해 앱이 종료되기 전과 후에 따라, 백그라운드에서 복귀할 때 어떠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지


삭제 후 재설치

사용자가 앱을 삭제한 후 다시 설치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동기화 및 복구에 대한 기준을 어떻게 처리할지 생각해야 합니다.

기획 시 고려 사항

1. 삭제 후 재설치 시 사용자 데이터와 행동 기록을 서버에 어느 정도까지 저장할지

2. 데이터 보존 및 초기화 정책을 어떤 기준에 의해 어떻게 설정할지


공통 - 네트워크 & 서버, 다국어, 약관

그 외 기획 과정에서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을 간략히 공유하겠습니다.

1. 네트워크, 서버 오류 대응

- 서비스 이용 중에 네트워크나 서버 오류가 발생했을 때, 어떤 화면을 노출할

- 로그인 과정에서 네트워크나 서버 오류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에게 어떤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것인지

2. 다국어 대응

- 글로벌로 진출할 때, 국가별 스토어 정책 검토가 필요한지

- 콘텐츠의 다국어 번역이 내부적으로 가능한지, 아니면 외주를 고려해야 하는지

- 다국어 도입할 때, 신속한 개발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검토해야 할 사항들이 있는지

3. 약관(개인정보, 이용 약관, 데이터 수집)

- 어떤 종류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떤 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는지

- 저작권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는지




마무리

앱 기획에 처음 도전하면서 깨달은 것 중 하나는, 모바일이라는 제한된 화면 공간 안에 많은 정보를 담되, 복잡하지 않게 구성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최적의 UX를 기획하는 것이 저에게는 도전이지만, 사용자의 관점과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지속해서 생각하며 기획해 나간다면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앱이나 웹이나, 기획의 범위는 끝이 없기 때문에, 디테일한 부분을 챙기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이때,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디테일을 놓쳤다 하더라도 자책하기보다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그 경험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글을 쓰면서 제 경험을 회고하고, 그 과정에서 처음 앱 기획에 도전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참고 자료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Manifest.permission_group?_gl=1*9dkzyk*_up*MQ

https://www.mobpa.co.kr/post/%ED%92%88%EC%A7%88-qa-%EC%97%90%EC%84%9C-%EA%BC%AD-%EC%95%8C%EC%95%84%EC%95%BC-%ED%95%A0-%EB%AA%A8%EB%B0%94%EC%9D%BC-%EC%8B%9C%EC%8A%A4%ED%85%9C-%EA%B6%8C%ED%95%9C

https://www.mobpa.co.kr/post/%ED%92%88%EC%A7%88-qa-%EC%97%90%EC%84%9C-%EA%BC%AD-%EC%95%8C%EC%95%84%EC%95%BC-%ED%95%A0-%EB%AA%A8%EB%B0%94%EC%9D%BC-%EC%8B%9C%EC%8A%A4%ED%85%9C-%EA%B6%8C%ED%95%9C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droid-developer/answer/9799150?hl=ko


매거진의 이전글 성장을 위한 역기획 스터디 회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