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잔박 Oct 23. 2024

This time is not different

 삼성전자의 흥망성쇠를 지켜보며

삼성전자가 중요한 기업이긴 한 모양이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6만 원 아래로 내려갈 정도로 내려가다 보니, 삼성전자에 대한 위기론이 여기저기서 들린다. 대학원생들도 유망한 미래 직장 가운데 하나가 어려우니 걱정이 많은지, 대학원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커뮤니티인 김박사넷에도 삼성전자에 대한 걱정과 이렇게 된 원인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그러다가 오늘은 삼성전자가 이렇게 된 것이 한국 사회와 교육의 한계라는 다소 파격적인 주장을 보게 되었다. 

https://phdkim.net/board/free/63206

글쓴이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삼성전자 윗사람들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제조업에서나 먹힐만한 사고방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정량적 지표에만 매몰되어 있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아니라 위계질서가 있으며, 사람을 갈아 넣어 최적화에만 천착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일을 할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정형화된 문제 풀이 위주의 교육이 있었다고 지적한다. 글쓴이는 말미에 젊은 세대의 역량은 떨어지지 않으며, 요새는 AI 분야의 천재들과 세계적으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이 뒤쳐지고 있는 것이라 이야기한다. 반면 과거의 연구는 쉬웠기 때문에 지금처럼 한국이 잘해올 수 있었다고 이야기한다.


필자는 이 글을 읽고 여러 부분이 불편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겪는 어려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다른 나라라고 해서 겪지 않은 것도 아니다. 다른 나라 기업들도 모두 흥망성쇠를 겪는데, 대표적으로 노키아가 있다. 피쳐폰 시절의 최강자였던 노키아는 아이폰이 나오고 나서 스마트폰 시장에서 실패했고, 시장에서 사라졌다. 오히려 삼성전자는 다행스럽게도 그때 재빠르게 대응했었다. 옴니아 II가 옴레기라고 불릴 정도로 실패했지만, 그래도 얼마 지나지 않아 갤럭시가 성공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 견줄만한 위치에 오를 수 있었다. 이번 삼성전자의 위기는 AI 분야의 급성장에 기인하는데, 아직까지는 삼성전자가 이전에 스마트폰에 적응했을 때보다 성공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이기는 하다. 사실 HBM에 투자하지 않은 것, 좀 더 넓게 보면 몸짓이 거대해지다 보니 미래 기술에 대한 투자가 미흡했던 것이 주된 원인인 것 같다. 인텔도 비슷하게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갖췄을 때 미래 기술에 대한 투자를 줄이면서 후발주자들에게 밀리기 시작했다. (인텔은 미국 교육이 실패해서 힘든가?)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삼성전자가 여러 사업을 하고 있고, 위기를 언급할 때 주로 이야기되는 것은 메모리라는 것이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폴더블 폰을 처음 시장에 내놓았고, AI 스마트폰도 선도적으로 시장에 내놓을 정도로 어느 정도 혁신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메모리 사업의 겨울을 잘 이겨낸다면, 다른 분야에서 버텨주면서 미래를 기약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희망 섞인 전망을 해본다.


덧붙여 필자는 개인적으로 지금이 특별하다(this time is different)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은 믿지 않는다. 요새 학생들이 공부를 더 많이 한다는 것도 허구라고 생각한다. 옛날 본고사 수학 문제집을 풀어본 사람이라면, 그 말을 쉽게 할 수 없다. 그리고 예전에는 이과 학생들이 공통수학, 수 1, 수 2를 모두 공부했다. 요새는 수 2의 경우 쪼개서 일부분만을 시험 본다. 요새 학생들은 공부 범위를 줄이다 보니 틀리지 말아야 하고, 그러다 보니 괴상한 문제들들을 풀어야 해서 어렵게 느낄 뿐이다. (KAIST 김재경 교수님도 비슷한 말씀을 하시던데, 전적으로 동감한다.) 대학 교수들이 학생들의 수학 실력이 떨어진다고 이야기한 것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기도 하다. 물론 수학 실력이 떨어졌다고 해서 연구를 못하는 것은 아니고, 그래서 젊은 세대의 연구 역량이 많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더 걱정스러운 점은 인구 감소와 이공계 기피로 인해 우수 인재의 절대 수가 줄어드는 것이다. 그만큼 대학교와 대학원의 교육이 중요해지는 시점이 아닌가 싶다.

https://www.youtube.com/watch?v=-p2HEBOO6n8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이공계가 한강 작가의 수상으로부터 배울 점은 무엇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