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테토아부지 Feb 21. 2024

[영화감] 오컬트? 좀비물? 아니야 신토불이야~<파묘>

우리 땅엔 우리 귀신 ㅜ


장재현 감독의 신작 ‘파묘’(22일 개봉)는 같은 자리에 있던 묘를 두 번 파냅니다. 처음 파낼 때는 장 감독의 특기인 오컬트 장르의 전형적인 경로를 밟아나갑니다. 서늘하고 신비로운 호러를 원했던 관객의 기대가 충족됩니다. 


그런데 두 번째 파냈을 땐 영화는 미스터리 오컬트라기보단 집념의 추적극이자 질척이는 좀비물에 가까워집니다. 조금씩 산으로 가는 이야기에 어안이 벙벙하지만, 날것이 주는 두려움과 독특한 유머, 배우들의 인상적인 연기는 관객을 쉽게 놓아주지 않습니다.


김고은 무당되면 어떡해ㅜ 쇼박스 제공


줄거리 들어갑니다.

영을 느끼는 무당 화림(김고은)과 그를 따르는 봉길(이도현), 그리고 땅의 기운을 읽는 풍수사 상덕(최민식)과 장의사 영근(유해진)은 절대 묫자리로 써선 안 됐던 ‘악지 중의 악지’에 묻힌 묘와 맞닥뜨립니다. 이들은 미국에 사는 그냥 굉장한 부자에게 거액의 의뢰를 받고 관을 이장해야 하는데, 사고로 관에서 잠자던 조상 귀신이 나오고 말죠. 천신만고 끝에 사태를 수습하지만, 그 땅 아래엔 그보다 더 ‘험한 것’이 있었습니다.


조상 귀신의 저주를 풀기까지 초반 1시간은 초자연적인 현상을 통해 긴장감을 팽팽하게 이어가는 오컬트 장르의 정석처럼 느껴집니다. 시종일관 음산하고, 뭔가 일어날 것만 같은 분위기죠. 점프 스케어로 깜짝 놀라게 하기 등 전형적인 공포 수법이 감독의 전작들과 비교해 자주는 아니지만 더 효과적으로 쓰였어요.


악지는 땅 색부터 다르더라. 최민식은 맛도 보더라. 촬영팀이 그래도 좀 맛있게 만들어줬대. 쇼박스 제공 


그런데 묫자리에 다른 것이 묻혀 있었음을 발견한 이후 영화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하나의 영화가 아니라 두 개의 영화가 느슨하게 연결된 것 같다는 느낌을 줄 정도에요. 개인적으론 그 귀신들린 인부를 만나기 전까진 인물들만 그대로인 시즌제 드라마인 줄 알았어요. 


굿판이 수차례 이어지고, 묫자리를 파내고 또 파냅니다.("아 왜 또 파" 란 말이 절로 나와요.) 영화엔 한국 귀신도 나오고, 일본 귀신도 나옵니다.(※괄호 안 스포일러 주의. 일제 시대까진 오케이. 그런데 임진왜란 때 싸우고 세키하가라 전투에서 죽은 다이묘인가 쇼군인가까지 나올 줄이야. 아니 일본 여우놈이 묻었을 줄이야.) 조상 귀신도 있고, 생판 남인 귀신도 나와요. 


이 과정에서 상덕의 대사처럼 ‘우리 땅’ 한반도가 겪은 과거사도 언급됩니다. 장 감독은 “과거를 돌이켜보면 우리 땅엔 상처가 많았다. 그걸 좀 파묘하고 싶었다”며 “이게 영화의 중심이지만, 너무 도드라지지 않게 녹이면서 무엇보다 재미있는 영화로 만들고 싶은 욕망이 들끓었다”고 말했어요. (도드라져요 감독님)


김고은 일본어 잘함. 오네가이시마스 발음 좋음 ㅜ 쇼박스 제공


전반부가 관객이 장 감독에게 기대하는 바였다면, 후반부는 장 감독이 관객에게 보여주고 싶은 바에요. 대중이 원하는대로 무속신앙 버무린 매끈한 오컬트를 만들 수 있었지만, 열정 혹은 욕망으로 밀어붙인 후반부는 흥미롭습니다. 후반부로 갈수록 이야기의 정교함은 떨어지지만, 저력은 배가 돼요. “좀 더 직관적이고 체험적인, 화끈한 육체파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는 20일 시사회에서 밝힌 장 감독의 말대로입니다.


귀신을 연출하는 방식 역시 전반부와 후반부가 다릅니다. 유리창에 비친 모습 등 귀신이 간접적으로 보였던 전반부와 달리 후반부 귀신은 전면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인물들을 직접 공격합니다. (고은 누나 왈 "우리랑 달리 쟤넨 닥치는대로 죽여") 


귀신이라기보단 좀비나 괴수와 유사합니다. 오컬트 장르와는 또 다른 영화적 쾌감이 분명 있지만, 귀신은 보이기 직전이 가장 무서운 것 아닌가 하는 의문도 들긴 해요. 후반부 귀신이 워낙 오픈마인드라 절제하며 긴장감을 쌓아가던 초반에 비해 덜 무섭습니다.


여기 긴장감 좋음. 이도현 팔에 저거 부적임 ㅜ


최민식, 유해진, 김고은, 이도현 등 동나이 대에서 연기력 최고인 배우들이 투혼에 가까운 열연을 펼쳤습니다. 특히 신들린 듯 굿판을 벌이는 김고은과 이도현의 연기는 발군입니다.('더 글로리' 안 본 사람으로서 이도현 연기에 놀랐어요.)



배우들의 호연은 현장에서 실제로 불을 내고, 커다란 나무를 만들어 몰입감을 높인 장 감독의 실사 우선 연출 방식에 힘입은 바가 큽니다. 장 감독은 “컴퓨터그래픽(CG)을 써서 어떤 가상의 상황을 연기하는 것보다 배우가 실제로 깜짝 놀랄 때 그 한순간의 연기를 담고 싶었다”며 “‘파묘’ 같은 영화는 CG에 의존하다 보면 계속 의존하게 돼 땅이 발에서 떨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감독 말대로 날것의 두려움과 찝찝함, 그리고 갑분 결혼식 하객 풍경이 공존하는 영화 '파묘' 입니다.


뭐만 하면 케이오컬트, 케이파묘어벤져스 이러는데 지양 바람 ㅜ 역사크리쳐물이란 말도 민망함. 학계에 등재된 장르만 통용바람 ㅜ


<제 결론은요> '감'(50%) - 후반부 때문에 완성도는 떨어졌지만, 그 후반부를 각자 느끼고 판단하는 걸 추천.)

영을 느끼는 무당과 땅을 읽는 풍수사의 특식같은 신토불이 로망스.


안지루함 ★★★★

안유치함 ★★

균형감   ★

특이함   ★★★★

종합점수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21&aid=0002622385


이전 12화 인생 상담은 알렉산더 페인에게…<바튼 아카데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