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죠스바 Jun 29. 2022

ASCO 2022: Adicet 임상결과 발표

Adicet Bio의 ADI-001 임상1상 결과


감마델타T세포치료제 개발사인 아디셋 바이오(Adicet Bio)가 ASCO 2022 초록을 통해 임상1상 중간데이터를 발표하였다. 발표 이후 시외에서 주가가 25% 가까이 상승하였고, ASCO 2022 초록을 발표한 회사 중에 가장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였다.


https://meetings.asco.org/abstracts-presentations/209143


Results:

As of 14 February 2022, eight patients were enrolled and six were evaluable. Of these six patients, 2/6 were female (33%) and the median age was 62 years (range 45-75). The median number of prior therapies was 3.5 (range 2-5) and median IPI score was 3.5 (range 2-4). One patient received prior anti-CD19 CAR T cells therapy with lisocabtagene maraleucel. There were five patients with large B-cell lymphoma and one with mantle cell lymphoma. Among the six evaluable patients, three were treated on DL1 and three on DL2. Most related AEs (78%) were of grade 1/2. There were three AESI: two CRS (one grade 1 and one grade 2) and one grade 1 ICANS, and the only related SAEs were the grade 2 CRS and grade 1 ICANS. There was no reported GvHD and no protocol defined DLT events. At day 28, the ORR based upon PET/CT was 67% (4/6 patients) and the CR rate was 67% (4/6 patients). Both patients with ≥ 3 months post-treatment follow-up remained in CR. Additional data will be presented at the meeting.


-


아디셋 바이오는 감마델타 CAR-T 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로, 이번 임상데이터를 공개한 ADI-001은 CD20을 타깃한다. 일반적으로 CAR-T 세포치료제는 알파베타 체인을 가지고 있는 T세포를 기반으로 제작하는데, 가장 큰 문제는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에 의하여 암을 인식하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이것이 CAR-T가 Allogeneic으로 개발하기가 어려운 이유이며, 고형암을 타깃하기 어려운 이유이다.


이에 비해 감마델타 체인을 가진 T세포를 이용할 경우, MHC에 의존하지 않는 항암면역반응을 일으키며,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을 동시에 활성화 한다. 이는 암세포의 면역회피 기전을 극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면역회피가 일어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때문에 Allogeneic으로 개발 가능하고, 고형암에서도 효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지난 '21년 12월에 임상1상 초기 데이터를 공개하였는데, DL1 3명, DL2 1명에 대한 데이터로, 이전에 3rd line 이상의 치료를 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ORR 75%(3/4), CR 50%(2/4)라는 우수한 데이터를 발표하였는데, 특히 인상깊었던 부분은 CR이 나온 환자 중 한 명이 이전에 CD19 CAR-T인 liso-cel을 투여받은 적이 있는 환자였다는 점이다. (데이터 발표 이후 주가가 크게 상승하였다.)


이번에 발표한 데이터는 DL1 3명, DL2 3명에 대한 데이터로, Cut Off 기준일은 '21년 11월이다. ORR 67%(4/6), CR 67%(4/6)라는 우수한 데이터와 특히 3개월 이상 CR이 유지됐다는 점에서 우수한 데이터인 듯 하다. 


아래 이전 초기데이터 발표 시 사용했던 IR 장표 중 환자 세부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보면 이번 분석결과에 해당하는 6명 환자의 프로파일을 추정할 수 있다. (당시에 6명의 환자가 ADI-001 투약을 완료하였는데, 데이터가 미성숙하여 효능 데이터는 4명의 환자에 대해서만 발표하였다.)


아마, 지난번 발표에서 CR이 나왔던 환자 2명의 CR이 유지된 것으로 보이고, PR이 나왔던 환자 1명이 CR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번 데이터에서 PR이 안나온 것을 보니..) 또한 아래 프로파일에서 환자6은 이전에 CD19 CAR-T인 킴리아(Kymriah, tisagenlecleucel)를 투여받은 적이 있는 환자인데, 초록에서 킴리아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을 보니 해당 환자는 SD 이하의 반응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Adicet Bio


-


임상전략에서 기존 CD19 CAR-T를 투여받은 적 있는 환자를 타깃했다는 점이 매우 인상깊다. 덕분에 아디셋 바이오의 임상 데이터가 더욱 주목받는 것으로 보인다. 


아디셋 바이오는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GPC3를 타깃하는 고형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데, 2016년 7월에 리제네론(Regeneron)과 라이센싱 아웃 계약을 체결했던 바 있다. 최근에 리제네론에서 기술이전 옵션을 행사하였으며, $20M을 옵션비용으로 수취하였다. (아디셋은 공동부담 권리를 포기하였으며, 이에 따라 리제네론에서 모든 비용을 책임지고 아디셋은 향후 한 자리수의 로열티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Cf. 최근 바이오 기술이전 매출인식에 대하여 스터디를 한 바가 있는데, 아디셋처럼 기술이전 시 공동부담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면 선급금을 전액 매출로 인식한다. (리제네론에게 더이상 제공해야 할 용역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특정 단계까지 개발 이후 라는 조건이 붙으면 분할하여 매출로 인식한다.

작가의 이전글 ASCO 2022: Iovance 임상결과 발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