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준 Sep 15. 2022

워라벨이냐, 워라인이냐.

 제목을 보고 워라인이 뭔지 궁금했을 것 같다. 사실 워라인이란 내가 지어낸 약자인데, 원래 단어는 work life integration, 즉 삶과 인생의 통합, 합치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일과 삶을 분리하여 일의 비중과 내 개인 시간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워라벨이라면, 일이 곧 삶이고 삶이 곧 일이라고 것이라고 여기는 것이 워라인이다.


워라벨에서 워라인으로..!

 

 워라벨이라는 단어에서 일과 내 삶을 분리할 수 있는 이유는 일의 의미과 내 삶의 가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 그 일을 왜 할까? 부수적인 이유 - 즉, 그 일 그 자체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일을 함으로써 내가 갖는 2차적인 보상들 - 돈이나 명예 등이 있겠다. 

 

 부수적인 것을 추구한다고 해서 워라벨을 추구하는 것이 무조건 틀렸냐하면, 그것도 아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돈과 명예 적당히 벌면서 내 시간이 있고, 에너지 많이 뺏기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할 수도 있다. 그런 사람에게는 워라벨이 정답이다. 한 가지 변수는 그걸 '진정으로' 원하냐 하는 문제이다. 많은 사람들은 주위의 기대나 남들이 하는 것을 자신의 의지라고 착각하며 살아간다. 남들이 '너 그림 그리는 걸 진짜 잘하는 것 같아' 라고 이야기하면, 진짜 그림이 좋아진다. 또 남들이 좋은 대학 가서 대기업 가려고 취직하는 것을 보면, 나도 대기업 다니면 진짜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것에 대한 진지한 고민 없이.

 

 물론 인생에 정답은 없다. 각자 추구하는 것이 다르니까. 그런데 나는 인생에 오답은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가장 큰 오답은 자기 주관대로 살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주관이란 어떤 행동의 결과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것이다. 같은 기업에 다니더라도 거기에 진짜 만족하며 오너십을 갖고 열심히 일하는 것도 정답이고, 다른 부차적인 이유 때문에 전략적으로 회사일 적당히 하면서 다음 스텝을 준비하는 것도 정답이다. 다만 다른 사람들이 거기 좋다고 생각하고 가고 싶어해서, 나도 하고 싶은 일이라 착각하면서 그 회사에 계속 다니는 와중에 또 워라벨은 운운하면서 개인 시간을 보장해달라고 외치는 것은 오답이다.

 

링크 : https://youtu.be/g08_m9mz6Ow

 그런 의미에서 유튜버 뉴욕 주민님의 위 영상에서 워라벨만 운운하는 사람들을 "노예"라고 비유한 표현에 일부 공감한다. (이 영상을 보고 이 주제로 글을 쓸 결심을 하기도 했다.) 뉴욕 주민님은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고 싶은데 그 과정에서 워라벨은 어떻게 지키시나요?"라는 주변 후배들의 질문에 "남들 놀 거 다 놀고, 잘 거 다 자면서 경제적 자유를 바라는 게 오만한 생각"이라고 대답하신다고 했다.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고 싶은데" 라는 전제 조건 하에서 맞는 이야기다. 그래서 재능 있고 배경 좋고 똑똑한 헤지 펀드 매니저들도 진짜 열심히 하는데, 그게 없는 우리가 성공하려면 그들만큼은 해야 되지 않겠냐고 주장한다.


 다만, 나는 위 영상에서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하는게, '노력'이라는 팩터에 너무 방점을 찍지 않았나 하는 것이다. 무언가를 열심히 하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에게 수단이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유의미한 성과를 가져다 주는 좋은 수단이긴 할 것이다. 근데 그게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인은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돈을 진짜 많이 벌고 싶다면 돈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회사 생활을 아무리 오너십을 갖고 열심히 해도 돈을 '진짜' 많이 벌 수는 없다. 월급이 많이 오르긴 하겠지만. 그 목적을 위해서는 사업을 하든, 투자를 하든, 뭔가 자본으로 자본을 굴릴 수 있어야 한다. 거기에 미쳐서 열심히 살아야 한다. 그럼 여기서 노력이라는 팩터보다 중요한 것은 어느 방향으로 생각하느냐다.

 

 남들이 하는 방향으로 열심히 하면, 남들보다 10%, 20% 많게는 몇 백 퍼센트 잘할 수 있겠지만, 남들보다 몇 만 퍼센트 이상 다른 결과를 내려면, 방향이 달라야 한다. 나도 아직 다른 방향 중 어떤 게 최선일지 공부하며 감을 잡아가는 단계이지만, 적어도 달라야 한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결국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은 생각하면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건 내 스스로도 잊지 않으려고 항상 되뇌이는 말이기도 하다. 요즘은 군중심리, 혹은 타인의 기대에 맞춰 사는 사람이 너무 많은 것 같다. 진짜 본인이 무엇을 원하는지 되돌아보고, 그걸 위해서 work life integration을 해서 죽은듯이 노력하든, work life balance를 찾아 떠나든, 각자의 목적에 맞는 행복한 삶을 살길 바란다.

작가의 이전글 면접에서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