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톤 Jan 08. 2024

식물의 결말

shape of death

꽃을 선물 받으면 닷새 정도 물갈이를 해주다가 꽃병으로 옮겨 말린다. 말라붙은 꽃잎이 하나 둘 떨어지기 시작할 즈음에는 꽃병을 비운다. 그의 가장 예쁜 모습을 나만은 기억해줘야 할 것 같다는 강박에서 나는 언제나 자유롭지 못하다.


식물이 시들어가는 걸 가까이에서 지켜보는 건 늘 마음에 가벼운 생채기를 낸다. 생명의 연소를 향한 애도라는 흔한 감정과 함께, 나에게 꽃을 다발로 내미는 손 위에는 꽃 선물을 처음 해본다는 말이 자주 얹어졌기에. 내가 받은 건 한 손에 쥐어지는 몇 가닥의 줄기가 아니라 그들의 무수한 처음이었다.


식물이 원하는 죽음은 무엇일지 자주 고민한다. 내 보잘것없는 미련 때문에 그들이 원하지 않는 모습으로 오래 남겨두는 건 아닐까. 귓속말로라도 유서를 남겨주면 좋겠다.


어린 시절에는 과학 실험에 사용된 부레옥잠과 알로에를 땅에 묻어준 적도 있었다. 칼로 난도질한 것으로도 모자라 쓰레기통에 버리기에는 알로에 즙이 눈물처럼 소리를 지르는 것 같았다. 학교 화단으로 몰래 달려가 그들이 있어야 할 자리는 여기인 것 같다는 어린 생각으로 흙을 덮었다. 지금 돌아보면 그것조차도 오만에서 나온 실수였을지도 모르겠다.


죽음은 대부분 우연적이라는 점에서 늘 잔인하다. 어떤 죽음은 벚꽃처럼 흩날리며 마지막까지 아름답고, 어떤 죽음은 동백꽃처럼 급작스럽게 통째로 추락한다. 필연으로만 삶을 채우려면 그 끝을 어떻게 맺어야 할지 많은 방법이 떠오르지는 않는다.


이왕이면 내 노년의 모습을 보고 싶지만 나는 오래도록 장수하고 싶다는 욕심은 없다. 그래도 아직 내 눈에는 아침 햇살로 반짝이는 눈 발자국이 너무 예쁘니까. 가장 차가운 시간에 따스함이 만들어내는 아지랑이를 보기 위해 새벽이 기다려지니까. 그게 내가 살아가는 이유이지 않을까 싶다.


언젠가 나를 꽃다발 말리듯 붙잡는 미련이 사라지면

내가 더 이상 지켜내고 싶은 게 없어지면

그 순간에 내 삶의 커튼을 영원히 닫아버리고 싶지만

그 선택은 아마도 내 것이 아닐 것이다.

나의 죽음의 모양은 식물의 형체를 가질 테니까.


오늘도 겁 없이 꽃을 말린다.

오래 보고 싶어 해서 미안해.

미안함은 사랑이 아니라던데

언제부터 미안했는지조차 이제는 알 수가 없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른 그림 찾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