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시대 서원의 역할
• 학문과 덕성을 기르는 교육의 장.
• 선현의 제사를 담당하는 공간.
• 각 붕당의 집권 명분의 확보를 위한 여론 형성의 공간으로 그 기능이 점차 확대.
2. 문경공文敬公 구천龜川 이세필李世弼(1642~1718, 백사 이항복 증손)과 용산서당
• 1703년(숙종 29) 12월~1705년(숙종 31) 9월까지 삼척부사 재임.
• 백성의 세금 부담을 경감.
• 유생 교육과 백성의 교화에 힘씀.
• 1705년 6월: 삼척지방의 재지사족과 긴밀한 협조를 맺으며 용산 아래에 용산서당 건립.
• 학규 21조 제정. 훈장은 참봉 최세필崔世弼(초명: 최세량崔世亮)
• 날마다 공무가 끝난 뒤에도 직접 나아가 경전을 강론하기도 하는 등 교육에 열성.
3. 용산서원
[서당에서 서원으로:중수과정과 이세필 후손의 지원]
• 1705년(숙종 31) 10월: 이세필 부사가 사헌부 집의로 영전하게 되자 최찬규, 최찬기 등 삼척지방의
사족들이 그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서당 북쪽에 생사당 1간을 건립하면서 점차 서원의 형식을
갖춤.
• 1706년: 흥학비 건립.
• 1708년 10월: 청금록(생도명단) 작성.
• 1708년: 강원도 관찰사 이태좌(1660~1739, 이세필의 장남)가 학전學田 수결數結, 원노院奴 2인 보냄.
• 1719년(숙종 45) 8월: 1718년 12월 이세필 부사 사망 후 삼척지방 사족들이 사당을 3간으로 증축,
서당 명칭 용산사(이세필 손자 홍문관 부교리 이종백 제액)로 바꿈, 서원 체제로 전환.
• 1729년(영조 5): 사우·강당·동서재 중건. 이형좌(강원도 관찰사, 이세필의 3남), 박문수(경상도 관찰사,
이세필의 외손자) 지원.
• 1740년~1775년: 최창억(최세량의 증손) 집안이 중심이 되어 여러 차례 중수와 개축.
• 1846년(헌종 12): 사우 중건. 삼척부사 김용순, 경상도 관찰사 이계조(이항복 7대손)가 지원.
•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용산서원 철폐.
• 1956년: 현재의 위치에 용산서원 중건.
• 1966년: 구건물 전부 철거, 본원 1동, 익랑(행랑) 1동 확장 신축.
[배향 및 제향]
• 1858(철종 9): 1827년(순조 27)에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문충공 경산 정원용의 영정 봉안.
이후 본댁 반환.
• 1962년: 이이(주벽)와 송시열(동벽) 추가 배향. 이세필(서벽).
• 1984년: 이이와 송시열 위패 훼철, 이세필 단독 배향.
• 영광 백산서원(1723년 건립과 함께 사액, 1736년 철액, 1868년 서원 철폐 후 미복원), 김제 용암서원
(1911년 복원)에 제향.
• 매년 음력 3월 3일 춘향제春享祭, 매 삭망 분향례焚香禮 봉행.
4. 지정문화재
1) 용산서원 학규 현판(강원도 유형문화제 제78호)
• 이황 “이산서원원규”, 이이 “은병정사학규” - 수많은 서원의 학규에 영향
• 학규 - 서원에서 학문을 하는 원생들이 지켜야 할 기본적인 수칙. 오늘날 교칙에 해당.
• 용산서원 학규 - 학도들이 성실하게 학문하면서 유념해야 할 항목 21개 제정.
• 학문하는 자세부터 독서하는 자세와 순서.
• 경전을 학습하고 실천하는 방법.
• 거처와 식사 규례 등.
2) 용산서원 전적류 8점(강원도 문화재 자료 제140호)
• 용산서당 학규龍山書堂 學規 1책, 삼척 용산서원 사적초三陟 龍山書院 事蹟草 1장,
용산서당생안龍山書堂生案 1책, 계좌목稧座目 1책, 서원임록書院任錄 1책,
용산서원 임록龍山書院 任錄 1책, 자록刺錄 1책, 용산서원 유사龍山書院 遺事 1책.
Ⓒ두산백과
• 용산서원의 운영에 대해 규정한 전적이 대부분.
5. 용산서원의 의의
조선시대 370여 개의 서원이 있었으나 지방수령이 사재를 털어서 서당을 설치하고, 학규를 짓고 써서 편액을 만들어 아동을 직접 교육한 수령은 이세필 뿐이며, 수령을 위하여 생사당을 짓고 서원으로 발전시킨 유림들도 용산서원 외에서 찾아볼 수 없다. Ⓒ원영환(강원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