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동남아 사랑꾼 Nov 24. 2024

여백 사고

11월 해운대에서


11월 해운대 일요일 아침, 초등학생 친구 부부가 1박 2일로 부산에 왔다. 시간으로 보면 24시간 정도여서 세게 부산 구경을 시켰다.


동백섬-해운대 아침~송도 해수욕장-유엔기념 공원-광안리 해수욕장-해운대 해변 야경 코스로 장장 3만 5 천보는 족히 넘는 거리다. 집에 오니 밤 10시다.


그들을 막 보내고  왼쪽 동백섬, 오른쪽 광안 대교, 정면 오륙도와 대마다가 보이는 모모스 커피숍에서 아메리카 한잔을 시켜 놓고 있다.


아침 9시에도 카페가 꽉 찼다. 1인석에 앉아 저 멀리 바다를 본다. 이리 바쁘게 보낸 하루가 내가 그간  장에서 살아온 꽉 찬 일정의 삶과 그런 일정표를 보며 왠지 피곤하지만 뿌듯한 성취감을 느꼈던 여정이 불현듯 펼쳐진다.


사람관계도 일도 커뮤니케이션도 그렇게 꽉 찬 시간과 공간 속에서 지내온데 대한 아쉬움이 스며든다. 여백이 없는 삶이었다.


물론 의도하진 않았지만 사람 만나 사귈 때 핸디캡은 많이 주려고 노력은 했다. '상대방은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그런 핸디캡과 여백이다. 직원이 일을 해서 가져올 때도 직원 간 차이를 받아들이고 약간은 업무 성과가 떨어진 직원이 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여백을 주긴 했다.


찬 일정에 익숙해진 내가 이제 여백 사고를 하는 중이다.


먼저 서울과 부산을 오가는 KTX 내 시간이 여백의 공간이고 시간이다. 일찍 퇴근해 집 근처에 홀로 산책하는 시간도 여백이고 여유고, 어둠이 깔리고 이른 잠자리를 청하는 신독의 시간도 여백이다.


새로운 부산 직장은 4만 평의 넓은 땅이 있는 유엔군 묘지다. 과거에는 묘들로 꽉 찬 곳이었는데 본국으로 묘를 이장해 가 여기저기 빈 공간이 많다.


찬 공간과 시간 속에 익숙한 나는 이 텅 빈 공간이 왠지 낯설다. 그래서  숲도 만들고 조형물도 만들려는 이런저런 아이디어를 내다가 뒤통수를 맞은 듯 띵하며 깨닫게 된다. 과거의 내 모습의 소환이다.


외국 사람들이 의사 결정을 하는 그들이 빈 공간을 중시한다는 직원의 말에 "아, 그렇구나, 이게 여백 사고지"하는 깨달음이다.


채우려고만 하지 말고, 비워있으면 비운대로, 너무 차있으면 비우는 그런 여백 사고를 11월 부산 해운대에서 연습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