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따로또같이 Jul 26. 2024

나의 키워드, 그리고 영재 교육의 인기

싫은 말은 대중적 보편적 일반적 정석 등이 있다

나는 어렸을적 타로나 사주를 보는게 재밌었다.

학교에서는 기질검사,적성검사 등 테스트 보는게 재밌었다. 지금에서야 보니 나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객관적인 언어”로 나를 표현해주는 그 말이 너무나 통쾌하고 재밌었던것 같다.


지금도 주저리주저리 적긴 하지만

조금씩 “키워드”로 나를 정제해나아가고 있다.

나만의 특별함, 개성을 존중받기를 원하고 있었던 것 같다.


“영재”교육의 인기는

사실 똑똑한 아이도 있지만

*내 아이의 개성을 존중해주고, 특별하게 여겨달라는 외침일 수도 있다.


내 아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집중도가 높아지고,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인정해달라, 잘 보살펴주고 특별히 관찰해달라”는 것이다.


영어유치원을 보내는게

정말 영어를 원어민처럼 시켜달라는 것 뿐일까?

소수정예로 케어를 매우 잘하기 때문이다.

특별하게 잘 돌봐준다는 거다. 거기에 영어는 덤.


그런데 섬세하게 케어받던  아이를 초등학교1학년에

갑자기 한반 30명의 공립초 보내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러면 이제 국제학교(미인가까지도)로 눈을

돌리는건 당연하다.


영재교육의 기본은 “개별화”이다.

사실 진짜 영재교육보다는 개별화(때로는 조금 더 전문적인 내용추가)를 추구한다는 뜻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공교육도 1:5 (말도 안되지만)로 케어해준다면?

중학교 1:10, 고등학교 1:15라면?

보내볼만 하지 않을까?


강사든 교사든 가르치는 사람들은 성향상 대부분 아이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아이들을 좋아한다.

(사회적 경제적이유로 오랜기간 재직후 성향이 바뀔뿐..)

학생 인원수만 적어도 훨씬 더 교류가 잘되고

이해를 잘해주고 심도 있고 전문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아이에게 최고의 선생님은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관심과 칭찬으로 인정해주고 동기를 부여해주는 것이니까.


난 이런 이유로,

공립학교도 망설여지고,

작은 인원수만을 지양하는 미인가 학교를 보내기도 고민되고,

한국 문화와 다른 외국학교를 보내기도 어렵고,

내가 낯설을 시골학교를 보내자는 결정도 어렵다.


기관보다는 좋은 선생님을 만났으면 하는 바램으로

열심히 찾아보는 중이다.










작가의 이전글 예술의 전당 1101 어린이라운지 후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