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불량품들의 사계 May 06. 2024

불량품들의 사계

저마다 우물 하나씩 갖고 산다 97

저마다 우물 하나씩 갖고 산다



머리카락이 가늘어졌다. 몸무게도 줄었다. 건강검진 할 때 발뒤꿈치를 슬쩍 들어도 키도 줄었다. 밥 먹는 양도 줄고, 라이브에서 노래 부르는 것도 줄고, 나를 찾는 핸드폰 벨 소리도 줄고, 친구들에 묻는 안부도 줄고, 자동차 주행거리도 줄고, 친구 집 방문도 줄었다. 사람에게 궁금한 것도 점점 줄었고, 저녁에 술 사러 마트에도 안 간다.

옛날에는 병어에 꽂히면 내 고향 신안 지도에서 한 상자 시켜 친구들 불러 질리도록 먹었었다. 근데 요즈음은 특별히 맛있는 것도 없다. 그리운 사람도 없고... 통장도 쪼그라든지 언제였던가. 이렇게 모든 게 줄었다. 그런데 한 가지 늘어나는 게 있다.  

    

나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아버지를 잃었다. 그때는 죽음이라는 걸 모르고 그냥 울었다.

그 후 제부의 죽음이었다. 간암이었다. 당시 서른아홉이었던 제부는 어린 조카 둘을 두고 세상을 떠났다. 벽제에서 제부를 화장할 때, 내 안의 둑이 무너졌다. 눈물은 한 방울도 빠짐없이 흘러나갔다.  

그때부터 누가 죽었다고 부고가 날아와도, 친척이 세상을 등졌다 해도, 나는 반응하지 않았다. 심지어 장례식장도 가기 싫었다.

내 안의 저수지가 새까맣게 말라버렸다. 밑바닥에는 가뭄이 든 것처럼 수많은 금이 그어졌다. 그 틈에 끼여 미꾸라지가 뒹굴다가 말라죽어갔다. 가슴이 미어터질 거 같은 일들이 많았지만, 그것을 바라본 내 눈길에는 먼지만 폴폴 날렸다.  

    

그런데 오늘 평상에 앉아 블루투스로 제주 소년 오연준의 <바람의 빛깔> 듣는데 눈물이 났다. 청아한 바람이 폐 속까지 들어왔다. 내 안의 지저분한 것들이 씻겨 나가는 것 같았다. 나는 눈물이 다 말라버렸는 줄 알았는데 언제부터 다시 눈물을 흘리게 됐을까....

십여 년 동안 같이 밥 먹고 뒹굴고 남 흉보며 기댄 나의 강아지, 산이를 보내고 난 후다.

나는 분한 일이 있을 때마다 산이를 앉혀 놓고 억울한 일을 이야기했었다. 산이는 내가 열변을 토하면 귀가 쳐지고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렸다. 아예 차분히 듣겠다는 뜻이었다. 산이는 ‘이모 분 풀릴 때까지 허세요, 내가 들어 줄란 께요’ 하는 눈빛으로 가만히 나를 올려다보았다. 내가 한 말 또 하고 또 하면 산이 턱은 바닥에 닿아 있었다. "산, 자냐?" 라고 말을 하면 산이는 눈알을 굴렸다.  산이는 나의 동지였다. 산이는 내가 숨 쉴 수 있는 공간이었다.   

  

그랬다. 나는 산이가 떠난 후 잠가도 물이 새는 고장 난 수도꼭지가 돼버렸다.   

담벼락 틈에 싹이 트는 것을 보아도, 지천에 핀 민들레꽃이 솜사탕처럼 지고 있을 때도, 평상에 앉아 있는 내 눈을 비추는 햇빛에도, 늦은 밤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밟다가도, 서로 밥을 양보하는 고양이들을 볼 때도, 지팡이를 짚은 노인이 노을을 등지고 폴더처럼 접혀 걷는 모습에도... 나는 속눈썹이 맞닿았다.

‘둑이 터졌나? 몸속에 누가 포클레인으로 저수지를 파놓고 갔나?’

눈물샘만큼 가뭄 안 타는 것도 없다는데 요새 그 말이 새삼스럽다. 주책없이 장소 불문하고 터지는 눈물 펌프질. 산이는 눈물 한 방울이 닫힌 내 어깨를 적신다는 것을 가르쳐주었다. 그렇다. 생각해 보면 나를 지탱해 준 힘은 저 배아래 물방울이었던 것 같다.

우리는 저마다 가슴에 마르지 않는 우물 하나씩 가지고 살아간다. 상처받은 것들 앞에서 흘린 눈물이 내 슬픔을 닦아내는 것이라고 산이가 가르쳐주었다.

산이 하고 걷던 자리마다 내 눈물 같은 봄비가 내린다.     

작가의 이전글 불량품들의 사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