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기숙 Aug 06. 2023

꽃게탕

첫 부부싸움에 누가 이긴 걸까?

     

신혼 시절 매일 먹거리는 나에게 큰 고민거리였다. 혼수품으로 가지고 온 모 출판사의 요리 전집 12권을 믿고 레시피에 충실하면 될 거라는 자신감은 며칠 만에 착각임을 금방 알아차렸다. 유선 전화기를 들고 친정엄마에게 일일이 물어가며 요리했던 시간들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텔레비전 요리 시간이면 노트를 들고 열심히 적어보기도 하고, 책을 보면서 그대로 따라 해 봐도 요리는 정성이라는 말이 무색했다.


한 번은 물김치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도저히 간을 맞출 수가 없어 그대로 두고 있었는데 교회에서 심방 오신 권사님이 “저건 왜 저래 놨어요?”했다. “아, 소금을 넣어도 맛이 안 나서요.” 금세 소매를 걷어 올리시더니 생각보다 많은 양의 소금을 겁도 없이 마구 넣으셨다. 그제야 물김치 맛이 났다.   

   

하루는 야심 차게 꽃게탕에 도전하기로 했다. 이것이 문제였다. 그날 꽃게탕이 큰 파문을 일으킬 줄은 꿈에도 몰랐다.  실실 웃음이 나온다. 마산에서 김해로 시집온 나는 덜컹대는 버스를 타고 집과 가까운 부산 구포시장에서 장을 봤다. 열악한 신혼집은 싱크대도 없어 바닥에 쪼그리고 앉자 꽃게 등딱지를 떼어내며 손질을 하고 있었다.

마침 면사무소에서 퇴근하고 온 그는 “꽃게 게딱지도 넣어 주세요” 한마디 했다. 사실 이 말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게딱지를 넣어서 끓인 꽃게탕을 못 봤기 때문에 당연히 버렸다. 엄마가 해주던 꽃게탕에는 게딱지가 없었다. 예쁜 꽃 그림이 그려진 뚝배기에 무를 깔고 된장을 풀고 손질한 꽃게를 넣어 맛나게 끓였다. 야심 찬 내 작품이었다. 정성을 다한 밥상에 내심 칭찬을 기대했다. 아, 이게 웬일인가. 한 숟가락도 그는 먹지 않았다. 눈치도 없는 나는 “한번 먹어 보세요, 제법 맛나는데요?” 식사가 끝날 때까지 그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대충 설거지를 했고 한 사람만 보고 낯선 곳에 시집온 나에게 이후로 눈길 한번 주지 않았다.  

   

성경 말씀에 이런 구절이 있다.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이유를 몰라 수 차례 물어보아도 묵묵부답이었다. 그 답답하고 서글픈 시간은 해가 일곱 번 져도 계속되었다. 어느 날은 옥상에 올라가 친정집 방향으로 고개 돌려 울기도 했다. 아픈 마음에 모기까지 불을 지폈다. 내려오니 그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자고 있었다. 참 야속하고 서글펐다. 하루는 답답한 마음에 구포에 가서 머리를 짧게 커트했다.

그래도 짧아진 헤어스타일을 보고 한마디 정도는 하겠지 하는 바람이었다. 계산된 행동은 빗나갔다. 무엇이 그토록 화가 났을까. 34년이 지난 지금 글을 쓰면서도 살짝 화가 난다.  


그가 그토록 삐친 이유는 이랬다.

'게딱지 넣어달라는 한마디도 순종하지 않는데 어떻게 한평생을 같이 할 수 있겠는가'. 했단다.

이 이유를 알기까지의 내 마음의 상처 따위는 배려하지 않은 그가 참 미웠다. 이 사건 이후로 2년 동안 꽃게탕은 끓이지 않았다. 나의 소심한 복수는 2년 만에 끝이 났다.

살면서 항상 생각한다. 부부 갈등이 없다면 거짓말이다. 그래도 단점보다 장점이 많다면 살아 볼만하다 생각한다. 그래서 지금도 같은 집에서 같이 글을 쓰고 있다. 우리의 첫 부부싸움은 누가 이겼을까? 꽃게탕을 먹을 때 나는 살을 스스로 발라 먹지 않는다. 일일이 살을 발라 내 밥숟가락에 올려주니 내가 이긴 것이 틀림없다.


오늘 꽃게탕 한번 끓여볼까.          

작가의 이전글 아, 우리 거제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