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놀람 감독의 [다크나이트]를 보면 히스 레저가 연기한 '조커'의 등장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조커와 악당들은 범죄를 위한 협력으로 은행을 털지만, 이 과정에서 조커는 차례로 팀을 맺은 악당들을 죽여 훔친돈을 결국 독차지 해버린다. 범죄자들에게 유일한 선한영역이라 부를수 있는 '협력' 의 개념 자체도 조커는 무너뜨려 버리는 것이다. 이것으로 조커는 순수한 '악함'으로 관객이 받아들일수 있게된다.
그 다음이 배트맨의 순서다. 배트맨의 등장과 동시에 등장하는 자들은 배트맨을 따라하며 각자 나름의 정의를 지켜내보려는 '가짜 배트맨' 자경단 들이다. 그들은 배트맨에게 묻는다 '진짜 배트맨 당신은 우리와 뭐가 다르냐고?' 그러나 배트맨은 깊은 의미의 대답을 하지 못한다. 배트맨은 스스로와 다른 자경들과 차이를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음지의 정의인 배트맨 다음으로 양지의 정의인 하비덴트 검사가 등장한다.
이 두가지 내용이 영화의 핵심을 시작하며 한번 짚어주는 부분들이라고 볼 수 있다.
히스레저가 표현한 조커의 목적은 명료하다. 영화중 조커를 취조하는 배트맨과의 대사 한곳을 살펴보자.
'you complete me.'
배트맨이 있어야 스스로 완성된다는 조커의 대사. 이 대사는 다크나이트 이전 악당 조커는 선한 배트맨과 대립되는 역할에 불과했지만. 다크나이트에 이르러 사실은 서로가 서로의 완성을 위해 필요한 존재였음을 관객들에게 인지시켜 버리는 중요한 장치이다.
배트맨과 조커는 물과 불이 아니라, 빛과 어둠적 존재인 것이다. 서로의 결핍으로 결국는 서로를 더욱 빛나게 해주는.
다크나이트 이후 조커는 배트맨이 인간적으로 눌러온 악함에 대한 본능을 투영하는 캐릭터의 역할도 부여받아 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후 호아킨 피닉스의 조커는 배트맨과의 구도보단 사회적 시스템으로 조커의 탄생을 우회해 보여주는 선택을 하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배크맨과의 관계성으로 완성된 캐릭터는 히스레저가 한번 끝내버렸기 때문에.
다크나이트 조커의 또다른 상징적인 대사는 배트맨에게 '가면을 벗으라'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여느 히어로들의 숙명이 그러하듯 정체의 밝혀짐은 영웅의 죽음과도 비슷한 의미을가진다.
그러나 더 중요한 의미는 보여주고 싶은 면만 보여주고 있는 하나의 페르소나를 벗어버리고 나약함과 본능적 충동과, 치사함과, 비겁함을 모두 가진 보통의 인간적 위치로 배트맨이 내려오라는 것이다. 조커는 이를 사회적으로 법적으로 이용한다.
배트맨과 다른 결론으로 인간적 약점 노출되었던 양지의 정의라 보여지던 하비벤트는 결국 투철했던 정의감 때문에 악당 투페이스가 되어버리고 만다. 정의 실현은 앞과 뒤를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면으로 해결되지 못한다는 동전이란 상징을 가지고.
이쯤에서 이야길 정리하고자 한다. 악과선으로 구분되는 완벽한 정의는 없다. 올바르다고 믿는 행동에는 항상 이면을 바라봐야 한다. 정의롭다고 믿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그림자엔 언제나 조커가 숨어 자라고 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