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영관 Oct 15. 2024

소유

   

원두를 고르면 손님 앞에서 내려주는 (오마카세)카페가 동네에 있다. 커피 가격이 만만찮은 곳이라 화단 꽃마저도 어여쁜가 싶었다. 중국집에서 몇 걸음 모퉁이라서 식사 후 느끼함을 지울 겸 들어갔다가 머쓱해서 돌아 나왔다. 싸구려 원두를 사서 실패하곤 했지만 (저렴한)콜드부르로 마시는 내가 그럴 수는 없으니까. 원두 1Kg사면 한참 마신다. 화단의 그 분홍 낮달맞이 꽃은 공짜라서 지나치다가 한참이고 들여다본다. 저 인간이 꺾는 건 아닐까, 게다가 한 움큼 뿌리 채 뽑아 달아나는 건 아닐까 하면서 주인은 나를 경계했으리라. 주인이 심은 거겠지만 꽃은 신의 오마카세다. 오마카세는 믿고 맡긴다는 뜻이니 믿어마지않는 신이 내어준 꽃을 만인이 경탄하는 것이다.     

집으로 오는 길에도 저만치 계단 아래에 야생인 듯이 한 무더기 낮달맞이꽃이 피어있다. 한 시간 걸은 무렵이라 피곤도하고 잠간 멈췄다가 지나친다. 꽤 오래 보았는데도 여전히 아름답다. 알고 보니 초여름부터 9월까지도 피운단다. 집에 들이면 좋겠어서 탐냈다. 아름다움을 찬미하는 게 아니라 그것을 오래도록 소유하고 싶어 하는 것 같은 내 욕망을 의심했다. 소유욕을 발현시키는 것도 아름다움 아닌가 싶다. 지금 가지고 있는 것에 의존하는 태도는 위험하다. 소유한 것들에게 소유당하는 일이 된다. 애써 얻은 것에게 집착해 애면글면하는 일 말이다.     

“만약 나의 소유가 곧 나의 존재라면, 나의 소유를 잃을 경우 나는 어떤 존재일까”?(에리히 프롬)하는 생각이 자욱해진다. 남들은 까짓 꽃 하나를 두고 심각하냐고 하겠지만 직장을 놓치고 집에 있으면서 내 것들로부터 서서히 멀어진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내 책들로 빼곡한 서재에 앉아서도 저것들이 나인지, 저것들이 나를 대변(代辯)하는지 궁금했다. 나의 소유가 곧 나라는 존재라면 책보다 꽃을 소유하고 싶다.     

어느 날인가 그 달맞이꽃 풀들을 솎아내는 아주머니를 보았다. 계단을 내려가 꽃이 어여쁘다며 옆에 앉았다. 아내와 함께였으니 경계하진 않는 것 같았다. 염치불구하고 몇 포기 주실 수 있느냐 했더니 이건 뿌리로 퍼진다면서 뽑아주셨다. 비닐봉지에 담아주었는데 한 술 더 떠서 물로 적셔 달라했다. 가는 동안 마르면 어떡하나. 화분에 심었는데 다음 날 아침에 기적 같이 꽃을 피웠다. 요 근래 그만큼 기쁜 일이 없었던 것 같았다. 꽃이 아름답다기보다 그윽했다.      

욕심을 더 부려서 쿠팡에서 씨앗을 샀다. 반신반의하며 파종했는데 놀랍게도(?) 싹이 튼 것이다. 아들들이 태어나 성장하던 나날들을 떠올리며 아비의 마음으로 들여다보았다. 제 터를 잃고 낯선 곳으로 데려온 것이 꽃을 피워주고, 씨앗도 싹을 틔우니 심신이 만사 평화로울 거라  기대했다. 예전 같으면 추진하는 것들 다 이루어지리라 하면서 욕심 부렸겠지만 이젠 평화롭기를 바란다. 씨앗을 뿌리고 꾸준히 물을 주면 싹이 튼다는 것을, 이토록 순정한 일을 모르고 살았다.     

* 『소유와 존재냐』, 에리히 프롬, p157-161     

작가의 이전글 시나브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