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민정 May 17. 2024

못생긴 아기

글쓰기

   

  못생긴 아기가 있다. 눈은 단추 구멍만 하고 코는 펑퍼짐하게 퍼진 데다 입까지 튀어나왔다. 웬만하면 예쁘다고 해주고 싶은데, 그 말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도 아기 엄마 아빠는 예뻐 어쩔 줄을 모른다. 가지가지 장식의 머리띠를 해 주고, 하얀 레이스가 달린 옷을 입혀 공주같이 꾸민다. 아기를 쳐다보는 눈에 자랑과 기쁨이 넘친다. 친한 이웃 사람을 만나면 “우리 아기 정말 예쁘죠!” 하며 행복해한다.


  할머니 할아버지는 한술 더 뜬다. 어느 날 아기를 데리고 백화점에 갔다가 몇 시간 만에 돌아온 두 분, 웃지도 않고 말한다.


  “오늘 백화점에서 많은 애들을 보았는데 우리 아기같이 이쁜 애는 못 봤어.”


  그 말을 전해 들은 이웃 사람들, 놀라서 서로 얼굴을 바라보다 돌아서서 폭소를 터트렸다.


  요즈음 내가 그런 식이다.


  몇 날, 때로는 몇 달씩 고심해서 한 편의 글을 완성한다. 느낌이 좋다. 처음부터 끝까지 막힘없이 한숨에 술술 잘 읽힌다. 그 글을 들여다보는 나는 행복하다.


  첫 독자인 딸에게 자랑스럽게 내놓는다. 아기를 자랑하는 젊은 엄마 같은 심정이다.


  “이번에는 엄마가 봐도 잘 쓴 것 같아.  재미있으니까 읽어 봐.”


  그러나 딸은 내가 그렇게 끙끙 앓으며 쓴 글을 끝까지 다 읽지도 않고 슬그머니 밀어놓는다. 얼굴에는 ‘도저히 재미없어 못 읽겠어요.’라고 쓰여 있다.


  나는 당황하기 시작한다. 글을 다시 읽어 본다. 정말 재미가 없다. 자꾸 걸려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지도 않는다.


  “얘, 그래도 이 표현은 좀 좋지 않니?”


  한 마디의 칭찬이라도 들어보려고 나는 비굴해진다.


  “아뇨, 너무 상투적이에요.”


  “그래도 이렇게 객관적으로 쓴 것은 훌륭하지 않니?


  “거리가 적당하지 않아요.”


  그리고 좋은 소재를 많이 가지고 그렇게밖에 쓰지 못하는 엄마를 안타깝다는 듯이 바라본다.


  한때 좋아하던 하루키 글까지 이제는 시시하다는 아이는 말한다.


  “엄마, 장 그르니에 글 같은 것 비슷하게라도 한번 써보세요.”  

   

  책 읽는 재미로 밤새워 글을 읽던 나는, 이제는 좋은 글 한편 쓰고 싶은 욕망으로 밤을 새운다. 밤을 새운다고 못생긴 아기 같은 내 글이 감동을 주는 글이 될 수 있을지 알 수는 없다. 그렇지만 엄마가 자기 아기를 사랑하듯 나도 내 글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         



-수필선집 《얼굴을 마주 보고》 (2024.1 발간)에

    수록



    


작가의 이전글 신데렐라의 자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