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의식의 흐름 Jan 03. 2024

새해는 신이 준 선물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이하며..

게으르기 짝이 없는 나로서는 작심 3일이라도 시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새해'라는 명목 때문이다.

사실 새해라는 것이 어디 있겠는가..? 해는 그냥 다 같은 해일뿐이지만 12월 31일을 보내고 1월 1일에 밝아오는 태양은 왠지 모를 설렘과 가슴 가득한 웅장함을 가져다준다.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변함이 없건만 1월 1일의 나는 뭔가 어마어마하게 달라질 만반의 준비를 한 사람이 된다. 그렇게 달라졌으면 엄청난 사람이 되어 있어야 하지만 매 해 제자리걸음만 하다 1년 치 주름살만 늘어난 것을 한탄하며 불혹의 나이가 된 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그랬듯 올해도 비장한 각오로 새해의 문을 열었다.

그래.. 올해 1년은 나 자신에게 한번 더 속아 보겠다 마음먹고 다이어리를 사서 1년 치의 계획을 세운다.

그다음 루틴은 남편과 아이들을 앉혀놓고 종이에 한 해의 목표를 적는다.

적은 목표와 송구영신 예배 때 뽑아온 말씀카드를 놓고 비장한 각오를 나눈다.

이러한 일련의 행위들은 그래도 뭔가 더 성장하고 변화하리라는 희망을 마음에 새기게 한다.

나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새해라 하면 십여 년 전 1월 1일을 꼽을 것 같다.

그날은 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엄마가 된 날이자 세상에서 가장 예쁘고 값진 딸을 선물 받는 날이기도 하다.

 12월 31일, 남편과 설렘반 기대반으로 2012년 새해와 첫 아이를 기다리고 있던 만삭의 나는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송구영신예배를 가려 채비하던 중 양수가 터져 급히 발걸음을 병원으로 옮겼다.

연말이라 도로에는 차도 많았고 사람들로 북적였다. 우리는 긴장하며 병원에 도착해 입원수속을 밟았다.

'하루만 더 있다가 나와라 아가야.. 하루차이로 한 살을 더 먹는 건 너무 억울하니까 하루만 더 견뎠다 나오렴..'하고 간절히 중얼대며 부랴부랴 병실에 자리를 잡았다.

착하고 예쁜 딸은 뱃속에서 내 이야기를 들었는지 다음날 정오가 조금 넘어 세상 밖으로 나왔다.

초산의 진통은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러웠지만 처음 딸의 얼굴을 본 순간을 나는 잊지 못한다.

그런 딸이 이제 12년이 훌쩍 지나 사춘기 소녀가 되었으니 참 세월 빠르다.

1월 1일 생이라 한 살을 야무지게 꽉 채운 큰 딸은 속도 꽉 찬 세상 둘도 없는 우리 가정의 보물이다.

게다가 신기한 점은 신랑의 생일과 큰 딸의 생일이 같다는 것.. 그래서인지 큰 딸은 지 아빠를 똑 닮았다.

신께서는 나에게 새로운 소망을 가지고 희망차게 시작하라고 1월 1일 새해를 허락하셨고 또 세상 가장 소중한 보물 남편과 큰 딸을 선물로 주셨다. 그래서인지 나에게 1월 1일은 다른 날보다 더욱 의미 있고 소중하다.

2024년 '갑진년' 새해에는 모두모두 건강하고 희망 가득한 소식들이 넘쳐나는 최고로 '값진년'이 되었으면 좋겠다!


작가의 이전글 12월, 끝이 아닌 시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