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리 May 11. 2024

당신은 글쓰는 사람입니까?

아무도 궁금해 하지 않더라도,


독서모임에서 글쓰기를 해 왔다.

그간 쓴 글들을 모아보면 수 십편은 될 것이다.

처음에는 "챌린지"였고 지금은 "미라클"이 맞다.


글쓰기를 처음 시작할 때의 질문이 있었다.

'내가 정말 글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인가?'


이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답을 찾고 싶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뭐든 써 봐야 했고, 

그래서 새벽기상, 독서모임, 1일1글 등의 루틴을 만들었다.




"나 글쓰기 좋아해~~ 글쓰는거 취미야"


글 잘 쓰는 주변 지인들은 이런 비슷한 이야기를 하곤 했다.

그들이 쓴 글이 정말 좋았고, 나는 부러움에 찬사를 보냈다.


그런데 그들이 정말 글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인지는 모를 일이었다.


'내가 읽었던 이 글만을 유독 잘 쓴 것일까?'

'저 분은 정말 매일 읽고, 쓰는 그런 일상을 즐기는 분일까?'


이런 의문을 품기도 했었던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글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글 쓰는 행위를 좋아하는 사람만은 아니다.


오래도록, 꾸준히, 매일 쓰는 사람.

쓰는 일을 밥 먹듯 하는 사람. 

글이 써 지지 않을 때에는 그 마음을 애통해 하는 사람.


이런 사람이다.


요즘 나는 글쓰기에 대한 고민이 많아서, 이게 또 고민이다.

이럴 때는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이 최선임을 안다.


'내가 정말 글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인가?'


나는 꾸준히 매일 썼다.

쓰는 일은 밥 먹듯 내 일상의 당연한 일이 되었다.

(단, 많은 양을 잘 쓰진 못했다. 밥도 많이, 자주 먹진 않는다. ㅎㅎ)

글이 써 지지 않을 때에는 애통하다. 

하지만 손이 머리를 따라가는 것인지, 머리가 손을 따라가는 것인지 

모를 정도로 써 지는 날엔 표현할 수 없는 충만한 기쁨이 있다.


이 정도면 나는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 인정할 수도 있겠지만,

솔직히 아직도 이 질문 앞에 머뭇거린다.







문제는 챌린지이다.

글쓰기나 독서모임같은 커뮤니티, 글벗, 책벗들이 없어도 나는 계속 그러할까?

브런치에서 내 글을 읽고, 댓글로 공감하고, 좋아요를 눌러주시는 독자분들이 없이도 그러할까?

그런 외부 요인 없이도 나는 내 스스로에게 그런 사람으로 남아 있을까?


이런 생각에 자신이 없어서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계속해서 커뮤니티를 떠나지 못하는 이유가 

정말 글쓰기를 좋아해서 인지, 

글쓰기를 못하게 될까봐 두려워해서 인지 모를 일이다.





'내가 정말 글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인가?'


아무도 궁금해 하지 않는 이 질문을 나는 계속할 수 밖에 없다. 

내 정체성이기 때문에.


'이 나이게 될 때까지 너는 아직도 니 자신을 모르냐?'라고 질타할 사람이 있어도 상관없다.

아마도 죽기 직전까지 나는 나를 정의하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아직 질문에 답을 확실히 얻지는 못했지만, 

답을 찾을 때까지 계속 글을 써 볼 작정이다.


'당신은 글쓰기는 좋아하는 사람입니까?'


내 자신의 목소리에, 타인의 질문에 즉시로 대답하고 싶다. 

"네, 좋아해요, 저는 글쓰는 사람이예요"


이런 대답이 부끄럽지 않도록, 

일단 내 눈앞에 최대한 "빼박"증거를 쌓아 놓아 볼 생각이다.








"여기, 쌓인 글이 있다.

물리적 실체가 있는 "빼박" 증거이다.

게다가 글쓰기는 근육 키우기처럼 정직한 데가 있다.


쓰면, 는다, 무조건이다. 돈 건다.


신의 축복을 받아 재능을 물고 태어난 사람들만큼 잘 쓸 수는 없더라도

어제의 나보다는 잘 쓸 수 있다."


<슬픔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 p.81

매거진의 이전글 양 손 꽉 붙잡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