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어진 아줌마 Feb 20. 2024

2-2. 마음은 매질이다

마음의 실재에 관하여


"오늘 점심은 간단하게 칼국수, 어때요?"

점심 무렵이 되어 어머니께 여쭈어본다.

"좋지. 안 그래도 칼국수 해 먹자 하려던 참인데..."


어머니의 답을 들으며 나는 생각한다. 내 생각을 어머니가 읽으신 걸까, 아니면 어머니의 생각을 내가 읽은 걸까?


대부분의 사람이 우연이라 여길 이 순간을 내가 일종의 텔레파시로 해석하는 것은 인간에게 타인의 생각을 감각하는 능력이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육체만을 나라고 생각하면 이 우연을 설명할 길이 없지만, 오라를 포함한 나의 존재장(場) 전체를 나라고 생각하면 이 현상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감각의 측면에서 보면 나는 이 존재장을 매질(媒質)로 하여 세계와 만나고 있기 때문이다.




누가 팔을 건드리면 나는 그 변화를 지각할 수 있다. 나의 신체가 외부와의 접촉으로 생긴 변화를 전해주는 일종의 매개체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의식의 개입이 필요하지만, 일단 의식은(그것이 뇌든 비물질이든) 토끼의 간처럼 빼내어 양지바른 바위 위에 두었다고 가정하자. 그 곳에서 몸이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고 말이다.


상황을 이렇게 가정해 놓고 보면, '몸'이란 결국 나에게 일어난 물리적 변화를 의식에 전해주는 일종의 '매질媒質'임을 알게 된다.


그러면 이제 감각의 대상을 조금 더 확대해 보자. 어떤 공간에 들어섰을 때 우리는 분위기가 가볍거나 무겁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렇다면 이 변화는 어떻게 감각되는 걸까? 원리대로라면, 이 역시 공간의 변화를 나에게 전해주는 어떤 매질이 내 안에 존재해야 한다. 만약 분위기 변화를 아무런 대상과 매개 없이 그냥 느끼는 것이라 주장한다면, 그것이 오히려 비과학적 태도일 것이다.


게다가 물리학은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이 아원자로 가득하다고 설명한다. 그러니 '분위기(雰圍氣)'라는 것이 말 그대로 '공간을 둘러싸 채우고 있는 아원자 장(場)'이고, 우리가 그 변화를 나의 몸을 통해 감각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실제로 초감각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인간의 오라가 감각의 매질 역할을 한다고 여긴다. 앞에서 인체가 7개의 오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이 중 몸에 가까운 1,2,3 오라층이 주로 정서에 관계된 변화를, 그리고 5,6,7 오라층이 지적 정보(사고思考)와 관계된 변화를 전달하는 매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3 오라층이 진동하면 우리는 그것을 감성적 변화로, 5,6,7 오라층이 진동하면 지성의 변화로 감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앞으로 이 세 부분을 각각 육체, 감성체, 지성체로 명명하자. 물론 이를 일컫는 서양과 인도의 다양한 용어들이 있지만, 나는 '감성체'와 '지성체'라는 표현이 오라의 본질을 훨씬 잘 반영하는 용어라 생각한다. 그림은 일종의 개념도로서 실제의 오라 모습을 반영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아마도 이 대목에서 이를 어떻게 입증하느냐, 그런 능력이 있다면 인간이 지금과 같은 소통 불능을 겪을 리 없지 않으냐 반문할 분도 계실 것이다. 하지만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 일단은 이런 가설도 있다는 정도로 인정하고 넘어가 보자. 게다가 아직 입증되지 않았을 뿐, 우리는 '감정의 전이轉移'나 '사고의 전이'가 가능함을 알고 있다. 이 이론이 우리의 현상적 경험을 잘 설명하는 가설이기는 한 것이다.




지금도 학자들은 어두운 두개골 안에 갇혀 눈도 없고, 코도 없이 존재하는 뇌가 어떻게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지를 두고 다양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몸이 각기 다른 진동의 매질로 구성된 복합체라 가정하면 이 의문은 곧 해소된다.


또, 부수현상론(마음이 뇌의 작용에 부수되어 나타난다는 주장)을 옹호하는 학자들을 고심하게 만드는 '심신 문제'도 쉽게 해결된다.


부수현상론은 우리 시대의 가장 유력한 가설로 인정받고 있지만, 여전히 두 가지 측면에서 이론적 한계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된다. 첫째는 이전 글에 소개한 '감각질'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흔히 '심신 문제'라 일컬어지는, 몸과 마음이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가를 해명하는 문제다. 뇌에서 마음이 생기는 것이라 설명하면 육체가 마음에 미치는 영향은 잘 설명할 수 있지만, 마음이 육체에 미치는 영향은 잘 설명되지 않는다. 육체에서 나온 마음이 어떻게 다시 육체에 영향을 주고 뇌의 구조까지 변형시킬 수 있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다. 하지만 '몸'의 개념과 영역을 오라까지 확대하면 이 문제 역시 손쉽게 해명된다.


비유컨대 우리의 몸이 일종의 호수 생태계 같은 것이라 생각해 보자. 유기적 생태계로서의 호수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물고기 뿐 아니라 호수의 물, 그리고 호수에 물결을 일으키는 바람까지 고려되어야 한다. 물고기만 관찰해서는 산소를 찾아 수면으로 떠오르는 물고기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물고기나 플랑크톤 같은 것이 우리의 육체를 이루는 장기나 세포이고, 물이 감성을 전달하는 매질, 바람이 생각을 변화시키는 매질이라 해 보자. 그러면 이 세 요소를 통해 몸과 감성, 사고 간의 상호작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몸이 아파 마음이 가라앉기도 하지만, 마음이 아파서 몸의 활력이 떨어지는 것도 경험한다. 물고기가 움직여 호수에 물결이 일기도 하지만, 반대로 호수의 물살 때문에 물고기가 헤엄치기도 하는 법이다(실제로 우리 몸은 70% 정도가 물이다. 그리고 물 속을 흐르는 이온과 전자 때문에 인체 주변에 생체자기(biomagnetism)가 형성된다).


인간의 유기체적 구조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포와 단백질이 아니라, 유기체를 이루는 생태계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동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인체를 하나의 소우주라 여겼다.




그런데 몸의 개념을 오라 영역까지 확장하면 몸과 마음의 구분이 매우 모호해진다. 오라는 일종의 에너지고, 에너지도 물질과 다를 바 없는 물리적 실재다. 그래서 오라가 마음의 실질적인 질료가 된다는 말은 다시 말해 마음도 물리적 실재를 갖는다는 의미가 된다.


물론 과거의 철학자나 성인들은 마음이 비물질이라고 가르치셨지만, 당시는 에너지나 공기(空氣)의 개념을 알지 못하던 시대다. 마음이 정말로 '무無'나 '공空'이라 여겼다면 그것을 언급할 이유조차 없으셨을 것이다. 그 분들도 무언가 실재함을 아셨지만, 그것을 명명할 개념이 없어서 '공空'이라거나 '영(靈)'이라거나 비실재라는 표현을 쓰실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양자역학이 발전하고 있는 21세기에 와서까지 과거의 개념틀에 갇힐 필요는 없다. 우리는 오라를 에너지로, 즉 실재적인 물질로 여기면서도 얼마든지 그 분들의 가르침을 해석할 수 있다.


우리는 대개 눈에 보이고 몸으로 느껴지는 변화를 육체적 감각이라 말하고, 보이지 않고 마음으로 느껴지는 변화를 마음의 감각이라 부른다. 하지만 오라까지를 고려해 존재를 규정하면, 본질적으로는 몸과 마음이 다를 것이 없다. 보이고 안 보이고의 차이가 있을 뿐, 그것은 똑같이 일종의 '몸'으로서 외부 세계의 변화를 나에게 전해주는 매질의 역할을 한다. 그러니까 사실 '육체'가 아니라 '몸과 마음의 복합체'인 이 존재 전체, 일종의 존재장이라 할 에너지장 전체가 실질적인 나의 몸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가설은 우리의 현상적 경험도 정합적으로 잘 설명할 수 있을까? 이제 이 존재 모형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심적 현상들을 이해해 보자.



#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


# 물질과 에너지의 관계에 관한 읽을 거리 :


매거진의 이전글 2-1. 지각의 대상과 매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