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vs LG, AI 로봇 패권 전쟁 본격화
AI 기술이 로봇 산업과 결합하면서 글로벌 로봇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 대표 전자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로봇 전문 기업을 자회사로 편입하거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AI 로봇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삼성, 레인보우로보틱스 최대 주주 등극… 휴머노이드 개발 본격화
삼성전자는 최근 국내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까지 확보하며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삼성전자는 이미 2023년에 868억 원을 투자해 2대 주주가 되었으며, 지난해 콜옵션을 행사하면서 누적 투자액이 3,542억 원에 이르렀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카이스트 휴보랩 연구진이 2011년 설립한 기업으로, 휴머노이드 기술을 보유한 국내 대표적인 로봇 회사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통해 2030년까지 반도체 사업장의 무인 공정 구현을 위한 로봇 연구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며, 산업용 로봇 및 물류 자동화 로봇 도입을 확대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는 AI 기술과 로봇 기술을 융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표이사 직속으로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하고, 차세대 로봇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올 상반기에는 AI 기반 가정용 로봇 ‘볼리’와 웨어러블 로봇 ‘봇핏’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로봇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전자,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 AI 자율주행 로봇 시장 정조준
LG전자 역시 로봇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상업용 자율주행 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추가로 인수해 51%를 확보하며 경영권을 확보했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된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 로봇 기업으로,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등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LG전자는 기존에 운영 중이던 ‘클로이 로봇’ 사업을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해 상업용 로봇 시장에서 경쟁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조주완 LG전자 CEO는 최근 열린 CES 2025 기자간담회에서 “로봇은 명확한 미래 산업”이라며 “현재 집중하고 있는 F&B 및 물류 배송 로봇뿐만 아니라 이동형 AI 홈 허브 등 가정용 로봇도 적극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AI 가전 사업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가정용, 산업용 로봇 시장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AI와 로봇 기술 융합, 미래 산업 주도권 잡을까?
삼성과 LG의 AI 로봇 투자 확대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미래 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AI와 로봇 기술이 융합되면서 제조,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며 “삼성과 LG가 로봇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것은 필연적인 흐름”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글로벌 로봇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트렌드포스는 2028년까지 전 세계 로봇 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연평균 15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삼성과 LG의 AI 로봇 경쟁이 로봇 산업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꿀지, 두 기업의 행보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