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73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최근 근황부터

일단 우분투로 왜 하는 것인가? 그리고 인터넷 연결 관련

by AI러 이채문 Sep 30. 2024

이런 글들은 굳이 열성을 다해서 적지 않으려고 하지만


일단 왜 갑자기 우분투인것인가?


라는 것에 대해서 답하자면


윈도우 운영체제로 일하는 것은 아무래도 굉장히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윈도우에서 할 수 없는게 있는가?


라는 것에 대한 답은


그렇기도 하지만, 사실 좀더 더 높은 퀄리티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피할 수 없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극단적으로 효율과 성능을 추구하는 사람이다보니


윈도우를 쓰다가 굉장히 화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운영체제를 추가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결국 오픈소스를 쓰는데 

있어서 제일 중요한건

오픈소스에 대한 호환성 문제인데


윈도우에서 개고생 하던거 (llama.cpp 같은거)를 생각해보자면


이를 우분투를 쓰면 굉장히 편하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이렇게 글을 우분투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우분투 화면우분투 화면


물론 맥을 쓰실 분들은 맥을 쓰시면 됩니다.



그래서 이 매거진의 본질


우분투를 스스로 독학하면서 기록하고 싶은 내용들을 모아두는


창고 역할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첫번째로 할 것은

인터넷을 수동으로 강제 재연결하는 것이었습니다.


생각보다 우분투가 유선 인터넷에 대해 불안정합니다.


그래서 강제 재연결을 중간에 한번씩 해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설정한 내용을 작성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먼저 활성화된 연결 이름을 확인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nmcli -t -f NAME c show --active

   이 명령어로 나온 결과를 기억해두세요. 이것이 귀하의 connection 이름입니다.



2. 이더넷 인터페이스 이름을 확인합니다:

   ifconfig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목록이 나옵니다. 보통 'eth0' 또는 'enp0s3' 같은 형태일 것입니다.



3. 이제 이 정보를 사용해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홈 디렉토리에 새 파일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reconnect_network.sh'라고 하겠습니다:

   nano ~/reconnect_network.sh


4. 다음 내용을 파일에 입력합니다:

   #!/bin/bash
   sudo nmcli dev disconnect [이더넷_이름]
   sudo nmcli -p con up id "[연결_이름]"

   여기서 [이더넷_이름]과 [연결_이름]을 앞서 확인한 실제 값으로 바꿔주세요.


5. 파일을 저장하고 나갑니다 (nano에서는 Ctrl+X, Y, Enter).



6. 스크립트에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

   chmod +x ~/reconnect_network.sh



7. 이제 네트워크 재연결이 필요할 때마다 다음 명령어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bash ~/reconnect_network.sh



8. (선택사항) 더 편리하게 사용하려면 별칭(alias)을 만들 수 있습니다:

   echo "alias reconnect='bash ~/reconnect_network.sh'" >> ~/.bashrc
   source ~/.bashrc


   이렇게 하면 터미널에서 그냥 'reconnect'라고 입력하여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주의: 이 스크립트는 sudo 권한이 필요하므로 처음 실행할 때 비밀번호를 물어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임시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Ubuntu의 네트워크 드라이버나 설정을 확인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이와 같은 설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속도에 대한 건데

질적으로 문제가 있다보니

아무래도 양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거죠.


그래서 IPv6를 비활성화하려고 합니다.


IPv6를 비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우선순위: 일부 시스템에서는 IPv6 연결을 먼저 시도하고 실패할 경우 IPv4로 전환합니다. IPv6를 비활성화하면 이 과정을 건너뛰어 연결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리소스 절약: IPv6 관련 프로세스와 연결 시도를 줄여 시스템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문제 해결: 특정 네트워크 환경에서 IPv6 관련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최근에는 IPv6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IPv6를 활성화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이 IPv6에 의존할 수 있으므로, 비활성화 후 문제가 발생하면 다시 활성화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적용한 후 네트워크 속도가 개선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해당 내용에 대한 코드를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터미널을 엽니다.



2.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sysctl.conf 파일을 편집합니다:

   sudo nano /etc/sysctl.conf



3. 파일이 열리면 맨 아래로 스크롤하여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 IPv6
   net.ipv6.conf.all.disable_ipv6 = 1
   net.ipv6.conf.default.disable_ipv6 = 1
   net.ipv6.conf.lo.disable_ipv6 = 1



4. 파일을 저장하고 나갑니다:

   - Ctrl + X를 누릅니다.

   - 변경 사항을 저장할지 묻는 메시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합니다.

   - Enter를 눌러 확인합니다.



5. 변경 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udo sysctl -p



6.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cat /proc/sys/net/ipv6/conf/all/disable_ipv6

   출력이 1이면 IPv6가 성공적으로 비활성화된 것입니다.



7. 네트워크 연결을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을 완전히 적용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이 과정을 마치면 시스템에서 IPv6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것입니다. 네트워크 속도가 개선되었는지 확인해보세요. 만약 문제가 발생하거나 IPv6를 다시 활성화해야 할 경우, 3단계에서 추가한 내용을 제거하거나 값을 0으로 변경한 후 5-7단계를 반복하면 됩니다.





우분투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시나 좀 막히거나 재미있는 부분들이 있으면


가끔식 정리할 요량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작가의 이전글 더 넓은 바다로 나아가기 위해서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