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려 없는 솔직함에 대하여
'솔직하다'라는 동사는 사전적 의미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진솔하다' '참되다' '정직하다'와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솔직하다'라는 단어 자체가 주는 느낌과 이미지에 대해서 더 없이 좋게 받아들인다. 게다가 당연히 지켜야 되는 의무 또는 인간관계 속에서의 약속이라고 까지 생각한다. '거짓말하지 말아라'라는 말은 많이 들어도, '솔직하지 말아라'라는 말은 듣기 힘들다.
하지만, 우리는 주변에서 종종 솔직한 사람 때문에 오히려 상처받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상대방은 '나니까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거야'라는 말로 우리에게 상처를 주지만, 상대방이 솔직하면 할수록 우리는 뒤로 내빼지도 못하고 꼼짝없이 불편한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여기서 문제를 과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솔직한 것은 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주는 잘못된 방향성이다. 상대방의 말을 듣고 기분이 나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부족한 부분 혹은 잘못된 부분으로 인하여 생긴 문제라고 생각하면서 결국은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솔직하게 이야기를 해준 상대방은 우리에게 상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쉽게 면죄부를 받는데, 우리는 죄 없는 우리 자신에게 마음의 벌을 내린다.
여과 없이 뱉어내는 모든 말들이 '솔직하다'라는 포장지에 싸여서 사람들을 상처 주는 것은, 분명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나의 말이 상대방에게 상처가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고, 기분 좋은 소리가 아니라면 분명 입 밖으로 말을 내뱉기 전에 한 번쯤 고민해 봐야 한다. 물론, 기분 좋은 소리만 하면서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기란 힘들다. 하지만, 나의 솔직함은 상대방을 배려하고, 그 배려 속에 애정이 담겨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봐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또한, '배려'라는 단어가 '내가 생각하는 배려'가 아니라 '상대방을 위한 배려'인지에 대해서도 한 번 더 헤아려 봐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이 아무리 '너를 위해 솔직하게 얘기하는 거야'라고 이야기하더라도, 상대방의 대화 속에서 나를 위한 배려와 애정을 찾아볼 수가 없다면, 분명하게 이야기해야 한다. '너의 솔직함은 별로라고. 듣고 싶지 않다'고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알아듣지 못하고 '나니까 이렇게 이야기해주는 거야'라고 이야기를 이어가면서 자신의 배려 없는 솔직함이 나를 기분 나쁘게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한다면, '솔직함에도 배려와 애정이 필요하다'라고 이야기를 해주거나, 아니면 그 자리를 피해야 한다.
거짓말을 하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는 때때로 하얀 거짓말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마주하기도 하지만,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의 대표적인 사례들은 '굳이 안 해도 되는 말과 정보'를 전달하면서 오는 불쾌함과 짜증이다. '굳이 이 이야기를 왜 나에게 하는 거지?'라는 생각이 든다면, 상대방의 말의 의도를 의심해 봐야 한다.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이면, 우리는 생각보다 쉽게 청자(이야기를 듣는 사람)를 위한 말인지, 아니면 화자(이야기를 하는 사람)를 위한 말인지 파악할 수 있다.
나에게 약이 되는 말만 쓴 것이 아니다.
나에게 독이 되는 말도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