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yatli Apr 18. 2023

Modern Renaissance (2)

La renaissance de l'espace / 공간의 재탄생

2. Mudec - Museo delle Culture di Milano & Bourse de Commerce



밀라노 도시 재생의 한 줄기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복합 문화 공간 Mudec

초현실주의 화가이자 작가인 레오노라 캐링턴(Leonora Carrington)의 동화에서 따온 '꿈의 우유(Milk of Dreams)'가 2022년 베니스비엔날레의 주제였던 열풍의 연장선일까, 밀라노에서 초현실주의 전시를 볼 수 있다는 말에 Mudec 전시장을 찾아 안으로 들어가 보니 달리와 마그리트의 그림보다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꽃의 형상을 떠올리게 하는 매혹적인 내부 공간이었다.

건물 내부의 곡선형 구조와 무지개 색감의 바닥


영국의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David Chipperfield)가 설계한 이 전시장에 대한 관심으로 이 공간에 대해 알아보다 원래 공장 부지였던 곳이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소위 문화 박물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밀라노 시의회가 1990년대 밀라노 지방자치단체 안살도(Ansaldo)의 이전 공업 지역을 인수하여 문화 활동에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참고)  




파리 상업거래소(Bourse de Commerce)

밀라노의 사례와 유사하게, 프랑스 파리에도 눈여겨볼 새로운 현대 미술관이 있다. 레 알(Les Halles) 지구에 위치한 파리 상업거래소(Bourse de Commerce)가 바로 그 주인공! 파리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던 이곳은 4년간의 레노베이션을 통해 Pinault Collection을 선보이고 있는데, LVMH의 아르노(Bernard Arnault) 회장이 2014년 초현대식 미술관 Louis Vuitton Foundation을 세우고 연간 10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는 모습에 Kering 그룹의 설립자 프랑수아 피노(François Pinault) 전 회장이 자극을 받으며 이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좌) 파리 상업거래소의 미니 모형 (우) 전시장 내부 이미지


이 공간의 리노베이션은 일본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Tadao Ando)가 맡아서 진행했는데 베니스 Pinault Collection의 Punta della Dogana를 설계했던 인연의 연장선이 아닐까 추측해 본다. 150년간 프랑스 경제의 상징과도 같았던 증권거래소의 리모델링 현장에 프랑수아 피노(François Pinault)가 40년간 수집한 피노 컬렉션 하이라이트의 집합이라니, 유의미한 조합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피노 전 회장에게도 이번 파리 미술관 개관은 무척이나 의미 있는 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20년 전 파리 외곽에 미술관 건립이 좌초되고 2006년부터 장기적인 전략을 통해 이루어낸 성과이기 때문이다.


 À la faveur de l’ouverture d’un nouveau lieu de présentation de ma collection à la Bourse de Commerce, au cœur de Paris, une nouvelle étape est franchie dans la mise en œuvre de mon projet culturel : partager ma passion pour l’art de mon temps avec le plus grand nombre.
 François Pinault


피노 전 회장은 파리시 소유의 19세기 유리돔 건물을 50년간 임대해 1,500만 유로 이상을 지불하면서 문화 프로젝트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고, 이 덕분에 방문객들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며 공간과 작품을 함께 감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밀라노와 파리의 두 공간을 돌아보니, ‘정부의 주도이든 개인의 역량이든 과거의 가치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는 일은 언제나 인상적인 시너지를 낳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아마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보다 더 고된 여정일지 모르지만, 이 과정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진정한 온고지신(溫故知新)의 가치는 시공간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다가오기에 충분히 의미 있는 노력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참고 내용>

Mudec -  Via Tortona, 56, 20144 Milano MI, Italia

Bourse de Commerce - 2 Rue de Viarmes, 75001 Paris, France

Punta della Dogana는 베니스의 옛 세관 건물을 전시장으로 바꾼 사례이다.

전 세계에서 27번째, 프랑스에서 4번째로 재산이 많다고 알려진 프랑수아 피노 전 회장이 가지고 있는 작품의 정확한 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2000년 이후 공식적으로 구입한 것으로 추산되는 작품 수는 9571점이라고 한다. (참고)

Punta della Dogana 이외에도 베니스에 위치한 T Fondaco dei Tedeschi by DFS을 관심 있게 바라봐도 좋다. 독일 상관 백화점이라는 뜻을 가진 이곳은 나폴레옹이 세관으로 지정해 사용했던 장소였으나 베네치아 상업의 몰락과 함께 문을 닫은 후 1870년 새로 문을 열어 베니스 중앙 우체국으로 사용되다 2016년 백화점으로 변모한 장소이다. (참고) 

피노 전 회장은 파리 중심부에 있는 Bourse de Commerce에서 본인의 컬렉션을 선보이는 것으로, 동시대 예술에 대한 열정을 대중과 공유할 수 있는 문화 프로젝트의 실행의 첫 발걸음이 시작되었다고 말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Modern Renaissance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