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희수공원 May 14. 2024

개념의 연결 /ɡænjʌmæʎəŋɡjəl/

10주차 - 학생 발표의 정석, 구조통사론과 이어지는 사고와 심리

전 주차의 부족을 만회하기 위한 준비와 노력은 학생들의 좋은 발표로 빛을 발했다. 이번 학기는 학생들의 그룹 발표를 오랜만에 부활했다.


코로나 기간에는 개별 동영상 발표를 만들도록 하여 하나씩 모두 분석 평가 후 관련 수업 자료 사이에 넣었었는데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게다가 신입생들의 미디어 녹음, 녹화, 편집 기술이 각각 많이 달라서 영상 편집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룹 발표는 장단점이 뚜렷한데 수업내외 그룹 활동이 활발한 경우 서로 사고를 확장하며 배우는 것들이 많아 학생들의 만족감이 높지만, 활동에 적극적이지 않은 그룹 멤버가 있는 경우에는 갈등이 많다. 특히, 한국어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는 외국인 학생이 있을 경우 갈등과 배척의 골이 깊어지곤 한다.


이번 학기에는 코로나를 핑계 대는 불통도 갈등도 거의 없고 그룹으로나 개인으로나 훌륭한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외국인 학생들도 교환학생과 한국어를 한국 학생들만큼이나 유창하게 하는 학생들이어서 수업을 끌어나가는데 어려움이 거의 없다.


발표는 구글드라이브 프레젠테이션을 온라인으로 공유하여 온라인에서 ppt 자료를 만들게 하고 수시로 강의자가 피드백을 주는 시스템이다. 빠르고 효율적이고 나와 학생들 서로 간 만족도도 높다. 제출 기한 마감 시 공유를 '보기'로 제한한 후 최종 평가를 한다.


첫 발표 팀의 피드백에 가장 많은 노력을 들여 좋은 발표를 하도록 끌어주면 그다음 팀은 첫 팀을 기준으로 수준을 맞추게 된다. 지금까지 네 팀의 발표가 모두 훌륭했다. 발표한 내용은 앞으로 퀴즈, 시험, 응용 논의자료 등 다각도로 사용된다.


10주 차에는 내가 언어학입문을 가르친 이래 처음으로 '통사론'에 관한 발표를 자원하는 팀이 나왔다. 신청을 받으면서부터 많이 설렜다. 언어학 이론의 말미인 의미론, 사회와 심리에 들어가기 전에 통사론과 사고방식, 의식구조의 차이를 연결해 주니 자연스럽게 응용 언어학을 다루게 되었다.


'통사 구조의 차이가 사고방식에 미치는 영향'으로 수형 분기도와 중요한 논문 자료를 인용하며 세 명의 학생들이 발표를 했는데, 발표 후 질의 시간에 나온 좋은 질문들이 발표를 더욱 돋보이게 했다.


발표자: 박A, 박C, & 이J


질문은 언어와 사고의 양방향 영향에 대한 것이었는데, 사실 언어와 심리에서 배울 주제지만 발표자들이 질의에 대한 대응하는 방식을 보고자 그대로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발표 후 질문을 받는 일은 가장 떨리는 공포의 순간이기도 하다. 국제 학회에서 저명한 학자조차도 '발표에 대한 질의는 이메일로 받겠다'는 것으로 발표를 끝내기도 하는 걸 보면 그 공포는 아주 크다. 나 또한 학회에서 발표 후 질의에 대해 응답은 했지만, 나중에 어떻게 응답을 했는지 기억이 안나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질의응답을 보면 해당 주제에 대해 얼마나 심도 있게 연구하고 고심했는지 단에 알 수 있다. 이 세 학생들의 놀라운 깊이와 응답 내용을 정리하며 감동의 칭찬으로 발표를 마무리했다. 질의를 한 학생들에게도 감사를 전했다. 청중들이 호응해 주는 발표는 발표자의 꿈이다.


한 가지, 한 발표자의 발표 언어 사용에 대해 짚고 넘어갔다. 부정적인 피드백이 아님을 언급했다. 상황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언어의 사용에는 거의 사용자의 목적이 내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을 잠시 언급하며 앞으로 화용론과 언어와 심리 주제를 다룰 때 실제 사용 데이터로 쓰려고 메모해 두었다.


11주 차는 석가탄신일 공휴일이라 75분의 동영상 수업을 제작해야 한다. 동영상 수업 제작은 가장 힘든 일 중 하나다. 하지만 학생들이 집중하도록 전략을 짜는 일은 흥미롭다. 이번 동영상 수업에서 다룰 부분을 다섯 가지 정도로 좁혀 두었다.

진로 관련 언어학 주제 4가지 분석 기술 마인드 맵

다양한 시험 문제 출제 활동을 통한 각 장의 복습

개별 브랜드네이밍 필수 항목 업데이트 요청

구조론, 통사론 표층 및 심층구조 피드백

Noam Chomsky에 대한 고찰 (시간이 있다면)


즐기는 수업의 시간은 정말 쏜살같다. 부교재 3개 장을 읽고 논의 주제와 질문을 만들어오라는 과제가 있었지만 수업 내 토론을 진행하지 못했다. 학교 시스템을 통해 논의 주제와 이해하지 못한 것에 대한 질문을 제출하도록 했고 12주 차 수업에서 같이 토론할 예정이다.


학생들의 생각이 조금 더 넓어지고 깊어지는 것을 느끼고 있다. 같이 배워가는 강의자로서 가장 감사할 일이다. 숲과 나무를 꼼꼼하게 살펴가며 잘 마무리하고 싶다.


▣ 12주 수업 활동을 위한 부교재 논의 주제 및 질문 과제 확인



▣ 강의 계획 드래프트: 주차-교재-부교재-주제-질문

▣ 11주차 동영상 수업 - 마인드맵 과제(진로와 연결된 언어학 주제들 - 피드백 제공), 유형별 문제출제 활동(OX, 5지선다형, 단답, 설명, 응용 논의 - 1~8장), On Noam Chomsky(ITP for 퀴즈-3), 브랜드 네이밍 업데이트(Con't)

IPA(국제음성기호) 키보드 등 소리 전사 및 발음 자료

1. IPA 기호(이미지) - 영어 자료 / 한국어 번역 자료

2.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IPA) Keyboard: https://www.internationalphoneticalphabet.org/html-ipa-keyboard-v1/keyboard/

3. IPA Reader: http://ipa-reader.xyz/

매거진의 이전글 셀프 경고장 /selpʊɡɘŋɡɔʐaŋ/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