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창수 Apr 26. 2024

성찰적 거리

금요일 저녁이지만 집을 떠나 출장지에 있습니다. 1인 1실로 배정해 주신 기관의 도움으로 오래간만에 생각지도 못한 쉼을 갖습니다. 숙소에 혼자 있을 때에는 몇 가지 유혹이 있습니다. 편안하게 침대에 누워 TV를 볼까 하는 유혹 말입니다. 집에서 출발할 때 작정하고 책 한 권을 끼고 왔습니다. 피곤이 몰려오는 저녁이지만 조용한 분위기 속에 책 한 권을 읽다가 자려고 합니다. 얼마큼 읽을지 장담은 못 하겠지만 책 읽는 시간은 개인적으로 일상의 삶과 거리를 둔 나름 성찰의 거리라고 생각합니다. 머릿속이 복잡할 때에는 좀 쉬라는 신호를 몸으로 느낍니다. 직장에 있을 때에는 쉬는 것이 쉬는 것 같지 않습니다. 책 한 줄도 편안하게 읽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출장지에 와서 일과를 마치고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은 1년을 돌아보아도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좀 전까지 많은 사람들 틈바구니에 있었습니다. 거의 100명은 된 것 같습니다. 수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인사를 하고 식사를 하는 시간은 나름 소중한 시간인 것은 분명한데 몸의 에너지가 소진됩니다. 아마도 이번 주 살아온 삶의 속도가 만만치 않았기에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번 주는 굉장했습니다. 강릉을 기준으로 하루는 춘천을 다녀오고 또 하루는 경북 칠곡군을 다녀오고 오늘은 횡성을 왔으니 말입니다. 춘천과 칠곡은 당일 치기로 다녀왔으니 몸이 피곤할만합니다. 


피곤해도 어쩔 수 없습니다. 사람들을 만나는 자리에서는 누군가 다가와 이야기 할 때까지 기다리기보다 먼저 다가가 인사를 합니다. 오늘 출장지에서 만난 사람들은 대부분 저보다 나이가 어린 분들입니다.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먼저 다가가 인사하지 않으면 저 혼자 고립되기 십상입니다. 먼저 인사했더니 좋아하십니다. 다음번에 만날 때에는 어색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저녁 식사 자리에도 모르는 사람들과 동석을 했습니다. 밥을 함께 먹고 나니 덜 어색해졌습니다. 


비교적 젊은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대부분 교장, 교감 선생님이 자신들이 학교를 비우고 출장 다니는 일을 썩 반기지 않는다고 하면서 아쉬워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왜 학교 관리자들은 선생님들이 출장 나가는 것을 못마땅해할까 생각해 봅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몇 가지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학급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다는 점, 수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출장비와 관련하여 과도한 지출이 예상된다는 점 등등의 이유가 있겠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국은 '사람'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평소에 소통을 통해 서로 신뢰하는 관계였다면 오해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선생님이 성장해 가는 모습을 가장 기뻐해야 할 사람이 학교 관리자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견제하고 자제시키려고 하는 이유는 소통의 부재에서 생긴 결과인 것 같습니다.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스스로를 돌아보았습니다. 나는 어떤가? 나도 선생님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선생님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해 드리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다짐을 다시 해 봅니다. 


블로그에 글을 쓰다 보니 벌써 눈이 반쯤 잠깁니다. 밤 9시가 약간 넘었는데 말입니다. 책 좀 읽고 자야 되는데...


작가의 이전글 해외교육동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