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우 Apr 27. 2024

감정의 롤러코스터

지인의 부고 소식을 들었다. 나이는 나보다 연배가 높지만 업무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알고 지낸 사이다.

50대 중반의 남성인데 처음 부고장을 받았을 때는 그분의 부모님이 돌아가신 줄 알았는데 자세히 확인을 해보니 본인의 부고 소식이었다. 무척 당황스럽기도 하고 놀랐다. 지병이 있다는 얘기는 없었는데. 고인의 소식을 자세히 알만한 지인에게 연락을 해보았다. 사망의 사인은 자살이라고 했다.  왜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는 죽은 자만이 알 수 있을 뿐 과한 추측은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남겨진 가족들과 그분을 아끼던 지인들이 얼마나 힘이 들까 심히 염려스러웠다.


나 역시 감정의 롤러코스터 위를 올라탔을 때가 많았다. 그럴 때는 위험한 생각이 들기도 했다.

현대인들은 외로움에 적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혼자 있을수록 긍정적인 마인드와 희망을 놓아서는 버틸 수 없는 게 현대인의 삶인 것 같다. 나 역시 2년간의 시간 속에서 혼자된 삶에, 형용할 수 없는 삶을 꾸역꾸역 버텨냈던 적이 있다. 지금은 힘들고 외로웠던 그 시간에 감사하는 마음이 든다. 홀로 외로움을 버티는 방법이 긍정적인 사고나 희망이 없이는 버틸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꾸역 꾸역이라도 버텨냈던 그 시간 동안 나는 서서히 변해갔고 지금은 혼자라도 외롭다는 생각이 많이 들지는 않는다. 어쩌면 이제 완전히 적응이 되어버린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지금의 내 모습이나 내 삶이 싫지 않으니 잘 버텼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시간을 지금 이 순간에 성장의 시간으로 자신 있게 기록할 수 있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한 때는 외로움에 부정적인 생각과 우울감에 빠져  타인에 기대어 극복해보려고 했다. 그런데 정작 돌아오는 것은 사람들과 만나서 웃고 떠들었던 그 시간이 지나면 공허함만 더 커질 뿐이었다. 마치 폭주하는 감정의 롤러코스터에 나를 내던진 기분이었다.


인간은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인간은 외로울 수밖에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가장 가까운 배우자나 부모님 또는 애인에게도 말 못 할 사연이 있을 수 있다. 결국 혼자 견디고 극복해야 하는 것이 인간의 삶인 것 같다. 곁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거들뿐 본질적인 문제는 결국은 나만이 해결할 수밖에 없다.


나의 경우 외로움이나 부정적인 생각 그리고 이별의 후유증, 우울감 등 어쩌면 암보다도 더 무서울 수 있는 불치병을 글쓰기를 통해 극복을 했다. 나의 얘기를 내가 귀 기울여 들어주고 바뀌고자 노력하는 나를 객관화해서 바라봐주다 보니 점점 긍정에너지가 생기고 희망이 생겼다. 아마도 삶의 의지가 본능적으로 그렇게 만들어가지 않았나 싶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스로를 잘 보살펴야 한다. 특히나 마음이 곧 깨질 것 같은 얇아진 유리벽 상태라면 더 잘 살펴야 한다. 타인에게 나의 마음을 의지하기에 앞서 먼저 나 스스로와 대화를 나누며 오늘도 작은 것에 희망과 행복을 발견하는 글로 마무리해 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시 살아보려 여기 왔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