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1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SCI/SSCI 저널 투고 전략, 무엇이 진짜 중요한가

초년 사회과학-교육학 연구자로서의 목표설정

by ImmersiveBama Feb 04. 2025

대학원생들이 멘토링을 받으면서 가장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는 SCI/SSCI급 저널 투고 전략에 대한 것입니다. 이는 연구자로서 성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고, 연구 실적이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최근 들어 이 주제는 더욱 뜨거운 이슈가 되면서, 소셜미디어에서는 유료 강의까지 등장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박사 과정 학생들과 이미 필드에서 활동 중인 독립 연구자의 관점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단순히 "SSCI 저널이니까" 투고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한 전략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아, 물론 이 글의 핵심은 한국의 맥락이 아닌, 보다 인터네셔널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생각해주셨으면 합니다. 



왜 SCI/SSCI 등급에만 집착하면 안 될까?

먼저, 필드에서 활동하는 연구자들은 논문을 작성할 때 단순히 "이 저널이 SSCI라서" 투고하는 것이 아닙니다. 보통 그 저널이 해당 분야에서 인지도와 영향력이 높기 때문에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연구자가 특정 저널을 선택하는 주요 이유:  

해당 저널이 내 연구 분야에서 인정받는 영향력 있는 학술지인가?

내 연구를 읽어줄 핵심 독자층(연구자, 정책 결정자 등)이 존재하는가?

해당 저널의 편집위원과 리뷰어가 내 연구 분야를 잘 이해하고 있는가?


이러한 요소들이 저널을 선택하는 주요 기준이 되며, 단순히 SCI/SSCI 등재 여부만 보고 저널을 선택하는 것은 오히려 연구의 전략적 방향을 놓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해외 연구 커리어를 생각하는 분들에게 강조하고 싶은 점은, 미국이나 유럽의 연구 환경에서는 SSCI 등재 여부가 평가 요소 중 하나일 수 있지만, 한국처럼 점수화된 기준으로 평가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연구의 독창성과 학문적 기여도가 더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됩니다.


� 단순한 SSCI 여부 vs. 연구의 진정한 가치

❌ 잘못된 접근:
"SSCI 등재 저널이니까 무조건 여기에 투고해야겠다."

✅ 올바른 접근:
"이 저널이 내 연구의 핵심 가치를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곳인가?"




좋은 저널 선택의 기준은?

SSCI 등재 여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좋은 출판사와 좋은 에디터를 가진 저널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고려해보세요.

� 좋은 저널을 고르는 체크리스트

1️⃣ 해당 저널이 내 연구 분야에서 인정받는 영향력이 있는가?  

연구자들이 자주 인용하는 저널인지 확인

학회에서 해당 저널 논문이 자주 언급되는지 살펴보기

2️⃣ 저널의 목표 및 스코프(Scope)가 내 연구와 맞는가?  

저널의 ‘Aims & Scope’ 페이지를 꼼꼼히 확인

내 연구 주제가 저널의 핵심 연구 분야와 일치하는지 판단

3️⃣ 편집위원과 리뷰어가 신뢰할 만한가?  

저널의 편집위원 명단을 확인하고 연구 분야가 나와 맞는지 체크

너무 생소한 편집위원진이 많다면 다시 고려해볼 것

4️⃣ 리뷰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한가?  

리뷰 과정이 철저하고, 피드백이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지

지나치게 빠른 출판을 강조하거나, 검토 과정이 부실해 보이면 조심해야 함

5️⃣ 출판 후 영향력이 높은가?  

저널 논문이 얼마나 자주 인용되는지 확인 (Impact Factor, CiteScore 참고)

논문이 연구 커뮤니티에서 논의되는 빈도 살펴보기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 연구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저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자로서 경력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점

많은 대학원생이 **SCI/SSCI 투고를 ‘최종 목표’**처럼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연구자 커리어를 구축할 때는 단순히 논문의 개수나 저널의 등급을 넘어, 연구의 독창성과 학문적 기여를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이 연구자가 독창적인 연구를 발표했구나!
✅ 이 연구자가 특정 필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구나!

이러한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장기적인 연구 경력에서 더 큰 자산이 됩니다.


SCI/SSCI 투고를 위한 현실적인 조언  

학문적 기여를 우선적으로 고민하라

논문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동료 연구자와의 피드백을 적극 활용하라

단기적인 논문 개수보다는 장기적인 연구 방향을 설정하라

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좋은 저널과 연구자들과 협업하라

특히, 연구 커리어를 국제적으로 확장하려는 분들은 SSCI 등재 여부보다 "내 연구의 가치를 가장 잘 알릴 수 있는 플랫폼이 어디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연구자로서의 방향성을 고민하자

SCI/SSCI 투고는 연구자 경력에서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SSCI 저널이니까 무조건 투고한다"**는 접근은 장기적으로 연구자로서의 성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연구의 가치"와 "학문적 기여도"입니다. 여러분의 연구를 가장 잘 표현하고,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면서 연구 커리어를 설계하시면 좋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학습의 과학과 학습과학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