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Ni Nov 16. 2024

운명의 문장(命章)

어찌 가오, 어찌 왔소

오늘의 명장(命章)


有物混成 先天地生 寂兮寥兮(유물혼성 선천지생 적혜료혜)

 獨立不改 周行而不殆(독립불개 주행이불태)

可以爲天下母(가이위천하모)

吾不知其名(오부지기명)

字之曰道 強爲之名曰大(자지왈도 강위지명왈대)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대왈서 서왈원 원왈반)

故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고도대 천대 지대 왕역대)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역중유사대 이왕 거기 일언)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인법지 지법천 천법도 도법자연)


﹡원문은 王(왕)으로 쓰였으나 해석은 인(人)으로 새겨본다.


하늘과 땅이 나기 전에 만물은 섞여 혼돈 그 자체로 존재하여 소리 없이 적막하고 형상 없이 비어있었다.

홀로 존재해도 보탤 것이 없었고, 어디에나 있어도 위태롭지 않았다.

가히 천하를 짓는 어머니라 할 수 있다.

나는 그것을 이름을 알지 못한다.

누구는 도(道)라는 글자로 부른다지만, 굳이 이름 짓자면 그냥 크다(大)고 하겠다.

그 큼은 저리 나아가며, 나아가니 멀어지고, 언젠가는 돌아온다.

그래서 도는 크다하며, 하늘도 크고, 땅도 크며, 사람도 역시 크다.

이 네 개의 큼 가운데 사람도 있다.

사람은 땅과 다르지 않고, 땅은 하늘과 다르지 않고, 도는 하늘과 다르지 않아, 도는 곧 자연(스스로 그러함)이라 한다.


『도덕경』 25장


단상


혼돈에서 질서로, 또 다시 혼돈으로:


  노자는 언어에 갇혀 '자연'을 놓침을 경계했다는 핑계를 대며, 원문의 구조도 파괴해 멋대로 읽었다. 『도덕경』 25장은 동양적 세계관을 시적이면서도 명징하게 드러낸다. 스스로 그러함(自然)의 진정한 의미는 그 자체로 완전한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만물의 근본이자 순환적 우주의 질서로 작용한다. 이 구절은 사주명리의 원리와도 중요한 철학적 토대를 공유한다. 사주명리에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는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이 이루는 순환적 관계의 상징이다.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음양오행(陰陽五行) 상생상극의 흐름도 이러한 순환적 사유에서 비롯된다. 순환적 사유는 “멀어진 것은 결국 다시 돌아온다”는 도의 흐름과 맞닿아 있다.


운명적 교집합:


  흥미롭게도 『도덕경』 25장의 구절은 동양의 철학적 통찰이 서양의 신화와 공명함을 보여준다. 혼돈에서 만물이 출현함은 혼돈(Chaos)이 낳은 질서(Cosmos)와 다르지 않으며, 하늘(天)은 우라노스(Uranus)와 땅(地)은 가이아(Gaia)와 닮아있다. 동양과 서양의 세계관의 시작에 관한 공통적인 묘사가 공교롭다. ‘공교롭다'는 표현의 의미는, 한 낱말 안에 ‘우연과 필연’이 하나임을 새겨놓은 것이라고 한다. '운명적 교집합'인 것이다.


이 길 끝에서:


"나의 생에는

모든 지름길을 돌아서

네게로 난 단 하나의 에움길이었다."

나희덕 <푸른 밤> 中


떠밀려 나아갈 수밖에 없어,


저편으로 멀어지는 듯 하나,


반대편은 다시 만날 에움길이었음을.


어찌 가오.

어찌 왔소.




작가의 이전글 운명의 문장(命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