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진 Jun 25. 2024

소설가 지인이 생긴다는 건 Ⅰ


소설가 지인이 생겨난다는 건 감사하면서도 부끄러운 일이다.


물론 지난한 밥벌이 속에서도 창작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주변인들의 존재는 그 자체로 힘이 되고 감사한 일이다.  

하지만 그들의 등단 소식은 역으로 한없이 소진되고 있는 내 삶을 직면하게 한다. 타인의 성과는 빛을 잃어가며 깊은 물속 조약돌처럼 흐릿해지고 있는 나 자신을 바로 보게 한다. 난 뭘 하고 있나. 이제 다시 글을 쓸 수 있을까 하는 의문들이다.      


그래서인지 지인의 등단과 작품활동 소식은 적지 않은 자극과 생각을 안겨 준다. 그것은 여느 유명 작가의 활동기와는 결이 다른 신선한 뉴스다. 


아주 가까웠던 지인이던, 아니면 전언으로만 접했던 아주 흐릿한 인관 관계이건 중요치 않다. 사적 관계가 우선이었던 그들의 글과 말은 유명 소설가들의 것과는 다른 질감의 것이다. 동질적인 감흥들은 더 크게 다가오고, 그들이 느낀 밥벌이의 굴레와 글쓰기의 방해 요소들은 더 큰 무게로 다가온다.      


더 적극적으로 찾아보게 된다. 신춘문예 당선작을 해당 홈페이지에 들어가 읽기도 하고, 문학상 당선작을 내돈내산으로 사서 읽기도 한다. 

꼽아보니 십 수권에 불과한 밥벌이 기자의 북 리스트에 그들의 글들이 다수 있다. 내가 속한 신문사가 매년 발표하는 신춘문예 당선작도 제대로 보지 않는 내게는 꾀나 적극적인 탐독 행위가 아닐 수 없다.      


실제로 매체를 통해서가 아닌 사적 관계로부터 알기 시작한 지인이 등단한 케이스가 벌써 네 분째다.

한 분은 초등 시절부터 적지 않은 성장을 함께 공유한 쪽지 메이트다. 두 분은 신문사 선후배다. 그리고 마지막 분은 절친의 동료. 내면적으로 매우 가까운 정서를 가지고 성장했던 친구나 동료부터, 친구의 전언을 통해 그런 분이 있다는 사실만 어렴풋이 알고 있는 작가까지 다양하다.     


네 분의 작가 중 아마도 사적인 친분이 없는 분이 바로 김기태 작가일 것이다. 30년 지기 친구로부터 “동료가 동아일보 신춘문예가 됐다”는 말을 들었을 때까지만 해도 큰 관심을 갖진 못했다. 친구와의 술자리에서 얼핏 얼핏 그분의 근황을 전해 들으면서 “소설가도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을 몇 차례 했을 뿐이다.      


살면서 문학을 수능 이후 한 번도 제대로 읽지 않았을 것 같은 친구에게 “그분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대단한 분이다”라는 말을 전했을 뿐이다.(당시 그리고 지금까지도 소설을 쓴다는 건 천재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몇 해가 흘렀고, 기자 생활 15년 만에 기사를 쓰지 않게 됐다. 매일 쓰던 글을 잠시 놓고 나니 글에 대한 금단증상이 커져갔다. 지난 시간 내가 써왔던 글과 앞으로 쓸 수 있는 글에 대한 생각을 처음으로 깊게 하게 됐다. 


아이러니하게도 15년 동안 글을 쓰고 고치며 살았는데, 정작 내 안의 창작 에너지는 이미 고갈되고 없다는 생각도 하게 됐다. 생업의 무게를 지니며 자기 글을 써가는 사람들이 새삼 대단하게 다가왔다. 


개인적으로 글도 다 인연이 되어야 읽게 된다고 생각하는 편인데, 김기태 작가의 소설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을 잡게 된 연유는 이런 나의 개인적 서사와도 관련이 클 것이다.



관심의 증폭은 아주 우연한 계기로 시작됐다.

건조한 마음이 극에 다다른 퇴근길 광화문역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김 작가의 소설을 알리는 광고판이 눈에 들어왔다. 기쁠 하나 없는 일상인데, 완전한 기쁨이라니. 

사이비 종교의 영생 약속에 홀린 것마냥 교보문고로 발길을 돌려 책을 집어 들었다.

마케팅에 당했다 욕해도 좋다는 마음으로 서문을 읽어 내려갔다.



2편에서 계속…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