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병인의 아침
간병인의 아침
오른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 극도의 긴장감에 살고 있다. 살아있어도 사는 게 아니다. 나도 남편도. 눈을 붙여도 붙이는 것이 아니다. 눈을 뜨면서 자고 자면서 눈을 뜨고 있다. 간병 첫날은 몸이 받쳐주는데 이튿날이 되면 내 몸을 건사하기도 힘에 부친다. 정신적인 피로가 몸을 축낸다. 정신이 혼미해지고 몸이 묵직해 팔다리가 거추장스러울 정도다.
아침 먹기가 곤욕이다. 밥이 목구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간병인 아줌마들이 모여 앉은 틈에서 우격다짐으로 먹고 나니 기운이 좀 난다. 아픈 사람을 눕혀놓고 밥이 입에 들어갈까 싶지만 생존의 본능 앞에서는 어쩔 수가 없다. 죽어가는 사람을 돌보는 것은 살리는 일이고 그 살림을 위해서는 스스로 살아내야하기 때문이다. 허기져 죽을 것 같으니 먹지 않고는 배겨낼 수가 없다. 다들 환자를 돌보느라 잠도 못 자고 먹는 것도 시원찮아 고달픈 몸들이다. 소변, 대변에 환자 특유의 비릿한 냄새까지, 병실을 떠도는 고약한 악취에도 간병인들의 입에는 먹을 것이 들어간다. 먹어야 기운을 내고 기운이 나야 간병을 하며 하루를 버틸 수 있으니까. 밥을 먹다가도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면 가래를 뽑아 주고 다시 앉아서 수저질을 한다.
처음에는 사람들과 어울려 밥을 먹을 수 없었다. 아픈 사람을 옆에 두고 먹는 것도 미안한데 사람들과 어울려 소풍이라도 온 것처럼 떠들썩하게 먹어대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함께 하다 보니 먹지 않으면 이 생활을 배겨낼 수 없다는 것을, 머리가 핑 돌아 아찔해지니 환자보다 먼저 쓰러질 것 같으니 먹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년 넘게 간병인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처지에서 이런 분위기의 아침이야말로 하루를 버텨내는 힘인 것이다. 밥맛이 없어도 옆 사람이 먹으니 한 술이라도 뜨게 되고 간병인과 보호자, 그 처지는 달라도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그리 다르지 않으니 서로에 대한 이해도 깊어지기 마련이다. 환자를 돈으로 생각하는 간병인도 많지만 그것은 그들의 직업이니 어쩔 수 없다. 환경이 열악하면 열악한 대로 우리 몸은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하게 됨을, 병실 사람을 보면서 알게 된다. 궁하면 통한다는 것을 말이다.(2011년 6월 25일 토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