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1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법②

by Lea Jan 25. 2024


앞서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법① 스토리에서

공고문을 파악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포인트를 잡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사업 공고문으로 과제에 대한 이해를 완료하셨다면 그 다음으로 사업계획서로 넘어갈 차례입니다.



#3. 사업계획서 양식을 '스크리닝' 후 '구조화' 합니다.

     핵심은 작성이 아닌 '스크리닝'과 '구조화' 입니다.


앞 포스팅과 동일하게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을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아래는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의 사업계획서 내 1. 문제인식 파트 양식입니다. 

해당 사업의 경우, 각 파트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가이드가 함께 아래처럼 제시되어 있습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사업계획서는 스크리닝을 하면서 파트 별로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 구조를 짜는 것이 먼저입니다. 마인드맵을 상상하시면 이해가 더 편하실 겁니다.


사업계획서 양식 내 작은 소제목 부터는 기업에서 직접 작성을 시작해야하는데요.

소제목 작성 팁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다시피 공고문의 평가 지표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은  파트별 작성 가이드가 파란색 박스에 명시되어있기 때문에, 공고문의 평가지표와 파트별 작성 가이드를 함께 참고해서 합칠 부분은 합쳐서 최대한 명료하게 뼈대를 만듭니다.


위 사업계획서 양식을 보고, 제가 작성한 마인드맵입니다. 참고로 보여드립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4. 구조화 후 '리서치' 를 합니다. 특히, 부처별 '주요 업무계획'을 참고합니다.


구조화 후 리서치라 말씀드린 이유는 '연구개발계획' 파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리서치를 통해 채워지는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사업추진 배경 및 필요성, 시장 현황 및 전망, 경쟁 현황 등이 있습니다.


3번에서 구조화한 사업계획서 뼈대를 리서치한 자료를 근거로 내용을 구상해나가면서 때로는 구조를 바꾸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리서치는 오히려 실제 작성보다도 시간이 더 많이 들 수 있는 단계입니다, 


어떤 과제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매년 각 부처에서 발표하는 주요 업무 추진계획 을 참고하시도록 당부드리고 싶습니다.


여기서 모든 부처의 업무계획을 보실 필요는 없고, 각 과제의 소관 부처의 업무계획만 참고하시면 됩니다. 

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의 경우 중소벤처기업부의 업무 추진계획을 참고하시면 되겠죠?


아래는 부처별 업무계획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2024년도는 아직 발표 진행중이네요.

 부처별 업무추진계획 참고사이트(대한민국 대통령실 홈페이지)

https://www.president.go.kr/affairs/gov_report



모든 정부지원사업은 부처별 업무추진계획에 기초하여 가지를 뻗쳐 시행되는 사업이므로, 부처별 업무 추진계획에서 올해 추진하는 계획을 보신다면 특히, 추진 배경 및 필요성 파트 작성에서 큰 도움이 되실겁니다. 


#5 리서치 후, 작성을 시작합니다.

3번에서 구조화가 잘 된 사업계획서라면 , 그리고 4번 처럼 뒷받침할 리서치 내용이 잘 준비되셨다면, 작성에는 오히려 시간이 가장 적게 듭니다. 


작성과 관련한 내용은 앞으로 각 지원사업별로 해당 파트는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지 개별 포스팅을 올리면서 좀 더 상세하게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이 부분은 기대해주세요! 



작가의 이전글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법①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