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디 Mar 31. 2024

절세계좌에서 엔화로 미국 장기채 투자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직전 글에서도 다뤘던 금리 인하의 기대감에 의한 변화는 개인에게만 찾아온 것이 아니었습니다. ETF를 상장하는 운용사에서도 투자자들의 니즈를 맞추어 발 빠르게 ETF를 출시해 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자산신탁운용(ACE ETF)의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를 간단하게 리뷰하겠습니다.



■ ETF 정보


 - 종목코드 : 476750

 - 순자산 총액 : 80억 원

 - 상장일 : 24.03.12

 - 총보수 : 연 0.15%

 - 분배금 : 월 지급


 분배금도 얼마나 지급하는지 지켜봐야 합니다.



 ■ 비교지수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T1530 JPY Currency Hedged Index

(원화환산)


미국 재무부 발행 30년 국채 중 잔존만기 20년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달러 대비 엔화 변동분을 환헤지 한 엔화 표시 지수를 원화로 환산한 지수


 -  비교지수?

 투자상품이나 전략의 성과를 측정하거나 비교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액티브 ETF는 비교지수와 상관 계수를 0.7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비교지수와 비슷한 성과를 보여주는 것을 목표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환헤지(H)인데 왜 엔화 노출?


 미국 장기채의 변동성에는 노출시키면서 달러의 변동성에는 노출시키지 않는 ETF입니다. 따라서 원화/엔화 환율에는 노출이 되면서 엔화/달러 환율에는 노출이 되지 않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ETF 이름에 (H)가 포함되었습니다.




 최근 달러의 가치가 너무 높다 평가하는 투자자들에게는 TLT 직접투자의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겠습니다. 게다가 연금계좌나 ISA에서도 투자가 가능하니 이 점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겠죠?



 한마디로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최종 노출 통화는 원화/엔화이며, 달러 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 ETF입니다.



 ■ 구성 종목


 구성 종목의 절반은 달러(USD) 자산이고 나머지는 엔화(JPY) 자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성 종목의 50%에 대해서만 환헤지가 이루어지게 되고, 환헤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게 발생하게 된다고 운용사에서는 말합니다. 엔화 환전 후 일본 직접투자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이 알아보고 있는 2621도 1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교지수 대비 초과 수익률을 달성을 위해 2621 보다 더 큰 비중으로 TMF를 보유하고 있는 것인가 싶습니다.


 미국 장기채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은 알았고, 어떤 식으로 투자를 해야 좋을지 고민이 많으실 거라 생각이 됩니다. 고민만 너무 오래 하게 되면 기회를 날리게 될지도 모르니 '일단 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투자를 시작하시면 조금 더 마음 편한 투자를 하실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는 오늘 상장한 ETF라서 비교할 데이터는 없고, 앞으로 어떤 성과를 보여주게 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2차 전지, AI, 비트코인... 최근 여러 기회를 놓치셨다면 금리인하라는 다가올 기회에 배팅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저는 조금 땡기네요.


작가의 이전글 ISA, 연금저축펀드 이전 세액공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