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인사생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n Mar 31. 2022

동료리뷰에 대한 생각

평가경험을 뒤집어 놓으려면 동료리뷰의 데이터 가치를 살려야 한다.

동료리뷰는 동료 사이에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동료 사이의 격려와 인정의 효과로 모티베이션에는 긍정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그리고 이 과정은 팀워크에 도움이 될 수는 있을 것 같다. 그래서 동료 코멘트의 작성을 위한 UI는 팀워크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프린시플이 반영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 하지만 성과의 방향과 기준의 얼라인 면에서는 이 과정 자체가 구성원이나 팀에 큰 도움이 되기 어렵다는 것은 인정해야 할 부분인 것 같다. (성과목표와 기준의 얼라인은 목표수립 부터 시작해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노력이 요구된다)


동료리뷰는 평가책임자가 평가등급을 결정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그리고 인사담당자의 칼리브레이션 준비에도 매우 중요하다.

- 각 기여단위의 근거, 임팩트 정도, 견제 의견 등을 참고하는데 도움이 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 평가책임자에게 읽힐 수 있는 수준으로 정보의 양과 질로 정제되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 데이터가 많아도 정보가 홍수가 되면 워킹하지 않는다. 

- 객관식 척도 질문을 많이 고민하지만 진실의 질문을 통한 정성적인 의견과 리뷰가 더 객관적이고 정보가 되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동료리뷰는 평가 외에 조직 운영에도 도움을 준다. (평가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활용된다)

- 개인 혹은 조직의 현황 이해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 이는 평가 시즌 외에도 매일매일의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피드백이 된다. 
- 평소 협업하며 동료들 간에 어떤 레퓨테이션 혹은 관계가 쌓이고 있는지 상시/적시에 포착해 조직의 얼라인, 모티베이션, 팀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조직 매니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래서 동료리뷰는 개인이 주체적으로 코멘트를 상시 남기고 공유할 수 있는 모멘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주기적인 코멘트 기회도 함께 설계해서 최소한의 코멘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래서 상시/적시/주기적으로 조직의 이해와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상시로 기여단위를 스스로 증명하는 작업을 통해 개인은 충분히 기여한 바를 드러낼 수 있고, 동료 코멘트와 피드백 또한 실시간으로 쌓일 수 있는 환경을 평가플랫폼은 제공해야 한다. '평가플랫폼' 보다는 '업무공유회고플랫폼' 이 더 적절한 이름인 것 같다. 

그래서 링크와 같이 개인의 작업증명으로부터 시작되는 평가경험을 위한 인프라를 만들고 싶다. 
'내 성과를 내가 평가하는 평가경험이 온다.'

매거진의 이전글 커뮤니티로서의 회사 경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