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인사생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n Jun 05. 2022

업무의 공유, 회고, 크레딧, 평가, 보상



평가제도를 공부하다보면 개념적으로는 완성도 높지만 서비스(프로덕트) 관점에서는 여전히 낙후된 영역이라는 생각을 늘 해보는지라, 올해는 어떤 모습으로 서비스가 나와야 할지에 대한 생각을 특히 집중적으로 해보고 있습니다. 네 가지 축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는 2022. 6. 5. 아침!

1. 동료리뷰를 설계하는 것 (업무의 공유와 회고 그리고 크레딧)

기여단위의 공유가 협업의 과정과 결과가 되어야 함

성과기준, 성장가치, 첼린징한 수준에 대한 개개인의 가시성이 높아져야 함

협업플랫폼을 그리는 수준의 고민이 필요함 (슬랙을 대체하는 수준의!?)

2. 특정기간의 성과 수준의 의사결정 과정을 설계하는 것

자기증명 활동 결과에 대한 성과 컨센서스 - 투표로 만들 수 있는 컨센서스는 아님

칼리브레이션을 잘 진행하는 것이 핵심으로 보임

기대역량/역할 대비 결과물의 수준이 적정한지

평가대상자에 대한 평가책임자들의 메시지 얼라인이 핵심

3. 보상의 의사결정 과정을 설계하는 것

이게 잘 안풀림 ㅠ ㅠ

기대역량/역할 대비 숫자를 의사결정하는 것이  너무 어려워서, 숫자에 기대할 역량/역할로 순서를 바꿔서 얼라인 하는게 더 쉬울 것 같단 생각이 ㅠ ㅠ

4. 1번의 결과물로는 기여단위들에 대한 크레딧의 가시성이 올라가야 함

매거진의 이전글 영입(채용)의 혁신을 위한 세 가지 조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