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아무도 모르는 나스닥이 무너질 신호 6가지 - 1편

by 류디 Feb 22. 2025

안녕하세요, 류디입니다.


2025년 2월 현재,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종합지수인 나스닥(NASDAQ)이 전고점 부근에서 정체되어 있습니다.

나스닥이 지난 20년 동안 약 2,000% 상승하며 꾸준한 상승 추세를 유지해 온 만큼, 한낱 인간이 일시적인 하락을 예측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일 수도 있습니다.

확률적으로도 불리하다는 점을 알고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나스닥의 단기적인 하락을 이끌 요인 6가지 중 3가지를 이번 글에서 제시하고자 합니다.


나스닥 단기 하락을 이끌 6가지 요인


1. 닷컴 버블 수준의 S&P 500 PE Ratio

2. 일본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3. 쉽게 잡히지 않는 인플레이션

4. 미국의 어마어마한 부채 규모

5. 미국 실업률과 신용카드 연체율 증가

6. 나스닥 종합지수의 하락 다이버전스


이번 글에서는 첫 번째~세 번째 요인을 살펴보겠습니다.


1️⃣ 닷컴 버블 수준의 S&P 500 PE Ratio


PE Ratio(주가수익비율, Price-to-Earnings Ratio)는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평균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를 통해 현재 시장이 과열되었는지(고평가), 혹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현재, S&P 500의 PE Ratio는 30.55입니다. 이는 닷컴 버블 당시(2000년 2)의 PE Ratio(25.41)보다도 큽니다.


당시에는 "인터넷이 세상을 바꿀 것이다"라는 기대감으로 기업 가치가 과대평가되었고, 이후 거품이 꺼지면서 나스닥은 80% 폭락을 경험했습니다.

현재도 "AI가 모든 산업을 혁신할 것이다"라는 강한 기대감 속에서 기술주들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당시와 유사한 거품 형성이 우려됩니다.

S&P 500 PE Ratio, 출처: Gurufocus


2️⃣ 일본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란, 일본의 낮은 금리를 활용해 엔화를 빌려 다른 국가의 자산(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지난 몇 년간, 투자자들은 낮은 금리의 엔화를 빌려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전략을 지속해 왔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증시에는 추가적인 유동성이 공급되었고, 나스닥 상승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2025년 일본은행(BOJ)이 제로금리 정책을 철회하고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엔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은 금리 인하를 준비 중이고, 일본은 금리를 인상하고 있어 미·일 금리 차가 좁혀지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되면 수조 달러 규모의 엔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될 가능성이 커지며, 이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일본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규모, 출처: 국제 결제 은행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3️⃣ 쉽게 잡히지 않는 인플레이션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를 살펴보면,


2022년: 기준금리를 4.5% 이상 급격히 인상한 이후 CPI가 하락세를 보여 왔음.


2025년 1월: CPI 상승세가 다시 강해지며, 기존 하락 추세를 뒤집음.


이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금리 인하를 쉽게 단행하지 못하고, 금리 동결을 선택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 만약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한다면?


소비 위축 → 기업 실적 악화


AI 기대감에 상승했던 빅테크(M7) 기업들의 실적 부진 → 시장 하락 가능성


즉,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압박은 기업 실적 하락을 초래하고, 시장의 고평가 된 주가에 부담을 줄 수 있는 핵심 요인입니다.


미국 CPI 지표, 출처: 미국 노동 통계국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이번 글에서는 나스닥의 단기 하락을 이끌 6가지 요인 중 3가지를 다뤘습니다.

✔ 닷컴 버블 수준의 PE Ratio

✔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위험

✔ 인플레이션 재확산 가능성


다음 글에서는 미국의 부채, 실업률 & 신용카드 연체율, 하락 다이버전스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나스닥 시장의 리스크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작가의 이전글 비트코인과 디램, 미래를 이끌어갈 두 주인공의 관계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