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앱은 어떤 요금제를 써야할까?
Bubble.io는 코딩 없이 웹앱을 만들 수 있는 노코드 플랫폼이에요. 하지만 아무리 노코드라도 앱을 운영하려면 서버 리소스가 필요하겠죠? 그래서 Bubble은 워크로드(Workload)라는 개념을 사용해 요금을 책정하고 있어요.
Bubble에서 워크로드는 서버의 처리 능력을 의미해요. 쉽게 말하면 내 앱이 얼마나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단위랍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작업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워크로드가 필요해요.
- 사용자가 많아질 때
- 데이터를 자주 불러오고 저장할 때
-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실행할 때
Bubble은 앱마다 개별 요금제가 적용되며, 매월 결제해야 하는 구독형 서비스예요. 즉,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개의 앱을 운영할 경우, 각각의 앱마다 요금제를 따로 결제해야 합니다.
또한, 해외 결제가 가능한 카드가 필요하며, 요금제를 변경할 때 결제 가능한 카드인지 확인하기 위해 $1가 결제된 후 며칠 뒤 취소되는 과정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해외 결제가 차단된 카드는 사용이 어렵습니다.
각 요금제들의 특징을 간단하게 설명드릴게요!
Free 플랜 ($0)
연습 및 개발용
50,000 워크로드 유닛 제공
배포 불가 (앱을 실제로 운영할 수 없음)
추천 대상: Bubble을 처음 배우는 사람, 개발 단계에서 사용
Starter 플랜 ($32)
175,000 워크로드 유닛 제공
실제 앱 배포 가능
맞춤 도메인(Custom Domain) 연결 가능
추천 대상: 소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사람
Growth 플랜 ($134)
250,000 워크로드 유닛 제공
2명의 개발자 편집 가능
고급 버전 관리
추천 대상: 사용자 증가를 고려하는 스타트업
Team 플랜 ($399)
500,000 워크로드 유닛 제공
5명의 개발자 편집 가능
서브 앱 지원
25개의 맞춤 브랜치 생성 가능
20일간 서버 로그 저장
추천 대상: 팀 단위 협업이 필요한 기업
Enterprise 플랜 (별도협의)
호스팅 위치 선택 가능
전용 서버 제공
우선 지원 제공
강화된 보안 기능
추천 대상: 보안이 중요한 대기업
처음 개발 단계에서는 Free 플랜으로 시작하세요. Free 플랜은 배포만 불가능할 뿐,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요. 이후 앱을 실제로 운영하려면 Starter 플랜 이상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Starter 플랜부터 시작한 후, 필요에 따라 상위 요금제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에요. 또한,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워크로드를 초과하면, 요금제를 변경하지 않고도 추가 워크로드를 별도로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초과 사용에 대한 비용은 워크로드 소모량에 따라 유연하게 추가 과금되는 방식으로, 특정 임계점을 넘지 않으면 큰 부담 없이 운영할 수 있습니다.
요금제 변경은 아주 간단해요!
- 좌측 사이드바의 Settings 메뉴 클릭
- App plan → Change Plan 버튼 클릭
-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 후 결제 진행
이때, 해외 결제 가능한 카드인지 확인하기 위해 $1 테스트 결제 후 취소되는 과정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현재 내 앱이 얼마나 많은 워크로드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도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
- 좌측 사이드바의 Logs 메뉴 클릭
- 워크로드 사용 내역 확인 (어떤 작업에서 얼마만큼 사용되었는지 기록됨)
각 작업별 워크로드 소모 기준은 공식 사이트 및 국내 버블 커뮤니티에서 정리된 자료를 참고하면 좋아요.
버블 공식 워크로드 설명: Bubble 공식 문서
국내 버블 커뮤니티 정리: 모두의 노코드 워크로드 정리
Bubble의 요금제는 앱별로 적용되며, 매월 결제해야 하는 구독형 모델이에요. 해외 결제 가능한 카드가 필요하며, 요금제 변경 시 $1 테스트 결제가 진행되니 미리 확인해 두세요.
하지만 요금제 선택이 어렵다면? 무료 강의를 통해 Bubble의 기본 기능을 먼저 익혀보세요!
무료 강의 보기: 코드 없이 Figma 디자인 그대로! Bubble.io로 웹사이트 만들기
자신의 앱 규모와 사용량을 고려해 최적의 요금제를 선택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