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현미술 Nov 25. 2024

한강소설 표지 읽기:차미혜 사진

4. 흰ㅡ차미혜

흰색의 천을 표지로 하고 있는 <흰>은  '흰' 것들에 관한 이야기다. 표지를 넘겨 차례에는 '흰'것들에 대한 목록이 시의 제목처럼 나열되어 있다. 책장을 넘기니 짧은 산문형식이다. 이따금씩 사진도 실려 있다. 사진 에세이인가? 읽다보니 시점은 '나'에서 '그녀'로 바뀌면서 허구가 보태어진 것도 같다, 그럼 소설인가?(분류는 소설이다)

이처럼 이책은 시, 산문, 소설로 뚜렷하게 구분할 수없는 모호한 형식을 취한다. 장르의 경계에 있다고도 할 수 있는 <흰>의 사진을 담당한 작가는 차미혜이다. 그녀의 작품 역시 영상을 기반으로 글과 연극, 퍼포먼스, 설치등  다양한 장르나 매체를 넘나들며 활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작품에서 보여주고자한 것 또한 틈, 경계에 대한 사유이다. 어느 영역에도 속할수 없는 모호한 이미지들과 존재했다가 사라져버리는 것들에 대한 애도가 차미혜 예술의 주제이다.

The elegy of whiteness

엘레지ㅡ 영문의 번역이 책의 내용을 선명하게 한다. 문학 용어로 '애가', '비가' 로 번역되는 것처럼 이 책은 태어난지 두시간 만에 죽은 언니를 애도하기 위해 쓴 책이다. '그녀'가 주인공이 된 두번째 장은 죽은 언니에게 삶을 부여하고 있다. 한강의 소설에 등장하는 언니는 언제나 동생을 가장 잘 이해하는 유일한 존재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들은 어둠과 빛 사이의 '틈'에서 만난다.

이처럼 작가가 말하는 '흰'은 죽음을 의미하는 색인 동시에 삶, 생명을 의미하는 색이기도 한다. 그래서 결국은 밝고, 눈부신, 투명한 세계로 가고 싶다는 욕망이 <흰>에 함께 담겨있다.

<흰>의 마지막 사진처럼 한강작품의 마지막은 항상 빛을 향해있다.

2016년 <소실.점>전시에서 차미혜 작가는 한강소설가와 함께 '흰'을 주제로 4개의 퍼포먼스 영상을 기획했다. <흰>책을 바탕으로 한강작가는 그동안 '글'로써 표현한 언어를 지우고 '몸'으로써 새로운 언어를 시도한다. 존재하지 않는 누군가를 위해 옷을 만들고, 씻고, 다하지 못한 말을 가두고 시간을 견디고 걷는 등의 행위를 표현했다.

한강, 배내옷 퍼포먼스,HD(1080p)15분36초, 영상스틸컷, 2016, ©Jinhyuk CHOI(좌), 한강, <돌,소금, 얼음>, 2016(우)

어떠한 설명도 없이 관객에게 보여지기만 함으로써 경계, 소멸에 대한 사유를 영상과 소리, 퍼포먼스와 설치작품을 결합하여

죽은 언니를 떠올린다.

결국 이책은 죽은 언니를 통해 삶과 죽음, 빛과 어둠, 상실과 아픔을 탐구하고 치유하는 여정을 그린 것이며 차미혜 작가는 사진으로서 이러한 여정을 함께한다.


(참고: 네이버 헬로 아티스트ㅡ경계에 대한 사유. 포토아트 차미혜, 한강 2인전<소실, 점>전 2016, 7월.서울아트 가이드, <소실,점>전시. The stream 결정화 되지않은 감각들:차미혜 interview.)

작가의 이전글 한강소설 표지 읽기: 곽인식 회화(무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