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놀아야 산다
2018년 브뢰겔(Pieter Bruegel the Elder)의 그림을 보기 위해 유럽 몇 나라를 돌아다닌 적 있다. 스위스 작은 도시 빈터투어를 방문한 것은 브뢰겔의 눈 내리는 풍경이 있는 그림 한 점 때문이었다. 마을의 광장을 지날 때 무언가 꽝 부딪치는 소리를 들었다. 어른과 젊은이와 아이가 함께 어우러져 작은 나무공을 향해 커다란 쇠공을 던지고 있었다. 구슬치기를 하는 것처럼 보였다. 두 편으로 나뉘어 13점을 먼저 낸 팀이 이기는 놀이다. 점수를 계산하는 방식은 컬링과 비슷했다. 이것은 ‘페탕크(petanque)’라 불리는 프랑스의 오래된 놀이로 유럽 전역에 퍼져있다. 풀밭이든 모래밭이든 자갈밭이든 어디서나 노는 것이 가능하다. 세계선수권대회가 있어 스포츠로도 자리 잡았다. 작은 공을 기준으로 상대 팀보다 더 가까이 우리 공이 몇 개 있느냐에 따라 점수가 매겨진다.(그래서 작은 공을 향해서 큰 쇠공을 던졌던 것이다.) 상대방의 공을 쳐 내어도 된다. 먼저 13점을 내어서 이기는 것이 가장 큰 재미이지만 이 놀이의 매력은 기준이 바뀌는 것이다. 컬링은 바닥에 고정된 표적이 기준인 반면, 페탕크는 작은 공이 움직이며 새로운 기준이 만들어지면 순식간에 점수가 바뀌게 된다.
지금 전 세계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그 누구도 겪어보지 못했던 순간을 함께 이겨내고 있다. 페탕크와 연결해 본다면 지금은 기준이 바뀌는 시점이다. 순식간에 바뀌는 기준에 웃음을 잃지 않고 차근차근 점수를 계산하며 다음 판을 준비하는 힘을, 놀면서 키우면 좋겠다.
어른들은 걱정이다. 아이들이 핸드폰만 붙잡고 있어서 걱정이다. 맞벌이하는 부모는 아이들이 모니터 등교 시간에 맞춰 못 일어날까 봐 걱정이다. 집에서 혼자 지내다 보면 친구를 못 사귈까 봐 걱정이다. 문자로 서로의 마음을 전하는 것에 익숙하다 보니 직접 만나서 말할 때 그 마음을 제대로 전하지 못할까 걱정이다. 좁은 집안에서 꼬물거리는 시간이 많아지니 몸에 근육이 붙지 않을까 걱정이다. 그래서 어른들은 아이들이 읽을 책의 목록을 정리해서 손편지로 보내고, 할 거리 놀 거리를 유튜브를 통하여 제안하고, 새로운 시간에 맞춘 배움의 방식을 연구하면서 참 바쁘게 지내고 있다.
하지만 아이들은 잘 지낸다. 어린이집 다니는 유니는 비오는 날 우산 쓴 사람을 문어처럼 그린다. 유치원 다니는 규니는 온 집안의 놀잇감을 다 꺼내 놓고 놀다가 더 이상 할 것이 없어지자 글씨를 연습한다. 초등학교 3학년 민경이는 집안에 있는 플라스틱과 종이를 합쳐서 몸에 붙이는 코로나 퇴치 변신 로봇을 만들었다. 콜라와 멘토스로 용암을 만드는 지형이는 4학년이다. 집안을 온통 뒤집어 놓고 엄마의 가슴을 치게 하지만 아이들은 잘 놀고 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보내온 꾸러미로 놀면서 숙제를 한다. 아이들은 자기 앞에 펼쳐진 새로운 환경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영국 내셔널 트러스트에서는 11과 3/4세가 되기 전에 해야 할 50가지를 소개한다. 이 캠페인은 아이들이 밖으로 나가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을 만날 것을 제안하고 있다. 11과 3/4세라고 했지만 81과 3/4세도 역시나 재미있을 것이라 설명한다. 나무를 오르고 동산에서 구르고 바람을 만나고 동물 발자국을 찾으며 아이들이 자연을 맘껏 만나기를 바라는 어른들의 바람이 담겨있다. 미디어 캠페인에서 시작된 이 활동은 지금 책으로 만들어져 판매되고 있다. 5와 3/4세가 되기 전에 해야 할 50가지도 함께 참고하면 좋다.
자연에서 노는 것은 그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바람을 만나기 위해서는 바람이 지나가는 길목에 있어야 하고 물을 만나기 위해서는 물이 있는 곳까지 가야 한다. 아이들의 생활터 근처에 이런 곳이 있다면 좋겠으나 도시 생활자들은 시간을 내어 특별한 곳으로 움직여야 한다. 자연에서 놀기는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꼭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함께 노는 과정에서 세대 간의 자연스러운 이야기가 이루어진다.
고무신이 발행하고 있는 [놀궁리]에서 ‘풀 놀이’를 읽은 어린이가 할아버지 댁에 가서 민들레 대궁을 끊어 피리를 불자 할아버지는 버드나무 가지로 버들피리를 만들어 아이에게 주었다. 민들레피리 덕분에 할아버지도 60년의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서 자기 속의 어린이를 만났다고 좋아하신다. 생각이 날 둥 말 둥 했는데 어느 순간 몸이 그것을 기억해 내고 뚝딱 버들피리를 만들어 내었다. 이후에 할아버지는 어렸을 적 놀았던 놀이와 만들었던 놀잇감을 틈나는 대로 만들어 아이와 함께 놀고 있다. [놀궁리]가 만들어낸 의외의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