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런치에 글을 다시 쓰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사실 브런치에 어떤 글이 인기가 있을까? 검색도 좀 해보았고, 수상작으로 뽑힌 글들도 몇 가지 읽어보았다. 이왕 쓰기로 한 거 다른 사람들에게 좀 더 많이 읽혀서 댓글들도 좀 달리면 좋겠다고도 생각했다.
혼자 쓰는 글쓰기는 금방 일기장이 되어버린다.
누군가 보고 있을 거라는 생각도 못한 채 배설하듯 써보리는 일기장이 되고 말까 봐
조금이라도 인기 있는 글, 이왕이면 독자들에게 반응이 올 수 있는 주제를 골라서 기획에 맞춰 에세이를 쓰듯 쓰고 싶어 진 것이다.
생각해보면 내가 "있어빌리티"를 추구함으로 써 얻는 작가적 글쓰기와, 독자가 읽기 쉽고 편하게 느끼는 '독자의 글쓰기'는 어차피 내가 절반으로 똑 나누어서 쪼개어 쓸 수 있는 글이 아니다. 쉽게 말하면 그 두 가지의 맥락을 파악해서 써 내려가는 글쓰기를 하려면 어느 중간지점에서 쓰려는 훈련이 필요하다. 두 가지의 영역을 자유자재로 거리를 좁혀가기엔 시간과 노력도 부족하다.
잘 쓴 문장을 보면 따라 쓰고 싶어 지듯이
글쓰기를 하려면 책을 많이 읽어야지, 하는 생각에 노트북 전원을 켠다.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주제들도 생각해보았다.
어떤 글을 읽다가 소름이 돋을 정도로 공감되고, 정곡을 찌르는 듯한 묘사에 움찔함마저 느껴지는 글들이 있는데 그럴 땐 왠지 모를 연대의식을 느끼기도 한다.
그래서 되도록 핸드폰으로 쓸데없는 인스타그램을 들어가서 '나 지금 너무 잘살아요' 하는 글들이나, 소위 인플루언서라고 하는 사람들의 시시콜콜한 근황들을 보지 않으려고 했다. 그런데 문제는 인스타그램 속에 나오는 신박한 글귀나 짧디 짧은 글로 자아내는 매일의 기록을 훔쳐보는 일이 꽤나 재미있다는 것이다.
별로 대단하지 않은 나 자신을 스스로 엄청난 사람인 것처럼 혼이 담긴 '구라'로 포장하는 일이 얼마나 고통인지 안다. 그런데 SNS에서 짧게 소비되는 지인들의 근황이나 글들은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지에 대해 물어보지 않아도 답을 해주는 겪이라 흥미롭게 읽게 된다.
나를 포함한 그들이 SNS에 올리는 글들은 꽤나 파이팅 넘친다.
뭔가를 시도해봐야지, 말로 끝나는 글의 피드들도 있었지만, 용기 내어 다짐하는 말을 내뱉고
행동하는 그들의 모습을 사진으로 남겨둔다. 그 사진들을 즐겨 본다.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에너지와 문장이 주는 느낌이 전달될수록 진한 여운이 남는다.
블로그에 쓰던 정보성, 기록성 포스팅과 브런치에 쓰는 나의 감성들은 그 결이 다르다.
사실 일기장에 쓰듯이 혼자 주절 되었던 글들이 타인의 시선으로 읽힐 수 있다는 전제를 알고 쓰는 브런치 글과 같을 수가 없다. 그래서 쓰고 싶은 글들은 참 많지만 적어 내려가지 못하는 이유다.
누군가 이 글을 읽고 불쾌할 수 도 있는 주제들을 빼고,
그런 냄새를 풍기는 문장들도 빼고, 자기 검열의 시간을 갖다 보니 써야 할 주제도 글도 어려워진다.
쓰고 싶은 글은 많다.
4살 똑똑이를 키우면서 느꼈던 엄마로서의 삶,
지난 2년 동안 열심히 달려왔던 투자자로서의 삶,
미루는 습관을 고칠 수 있는 행동 방법,
고칠 수 없는 병으로 마음이 힘들 때 읽을 수 있는 글...
커피 한 잔에 책들을 펼쳐놓고 마음에 드는 문장에 밑줄을 그었을 때
그 이에게 내 문장들이 마음에 다가가 유언처럼 남았으면 싶다.
그 밑줄을 그었을 때의 당신과
글을 썼을 때의 내가 만나는 그 순간
밑줄이 지나간 자리에 남고 싶은 글을 쓰고 싶다.
나의 글을 읽기 위해 마땅히 지갑을 열어줄 그 이를 찾기 위해 남은 2021년에는 부단히 도 글쓰기 연습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