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ooin Dec 14. 2022

오해와 침묵

진실 혹은 실체와 거리가 있는 상상 또는 생각과 감정을 “오해라고 한다면.

심지어 자아(데카르트적 cogito)뿐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도 오해로 구성되고, 직조된다. 그 사람에 대해서 오해했기 때문에,친구가 되었고 연인/부부가 되었고, 또 원수가 되었다. 필연과 천륜과 같이 당위적인(혹인 필연적인) 관계 또한 구성적 상상 기반으로 유지된다. 내가 알던 다른 가족의 모습, 그리고 기대하는 모습은 그 사람의 실체와 거리가 멀다.

우리는 오해했기 때문에 사랑했고,  목숨을 바쳤고, 치열하게 미워했다는 면에서 이러한 상상적이면서 상징적인 부분이 삶의 본질에 가깝다.

그리고 미끄러지는 시니피앙으로 기인하는 소쉬르적 원죄로 인해 우리는 진실을 마주할 수 없다. ‘오해’를 풀기 위해 소통을 해야한다는 말은 거짓에 가깝다. 불편한 오해를, 조금 더 마음이 편한 방식의 오해로 바꿀 뿐이다. 풀 수 없을 뿐더러, 밀어내서도 안되고 그럴 수도 없다.


스토익적인 문장으로 환언하면, 타인의 상상과 상징으로 감정이 휘둘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타인 마음과 머리 안에 구성된 상상은 바꿀 수 없고, 바꾼다고 하더라도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바꿀 뿐이며, 그것은 진실과 늘 거리가 멀다.


피카르트적 침묵만이, 부정신학적인 침묵이 우리가 택할 수 있는 최선 중에 하나일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헤어짐과 결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