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ooin Feb 03. 2018

원윤종-서영우의 봅슬레이, 관전포인트 핵심정리!

-해설위원 없이도 재미있게 봅슬레이 경기를 보자!


세계적인 수준의 봅슬레이 선수인, 원윤종-서영우 팀입니다!(출처: sbs 스포츠)


봅슬레이, 자주 들어본 썰매 이름입니다. MBC 무한도전에도 봅슬레이 특집편이 있어서 익숙한 종목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원윤종-서영우 선수는 세계랭킹 1위(15-16시즌)을 할 정도로 세계적인 수준입니다. 그렇지만 정작 경기를 보신 분은 많지 않으실겁니다.


MBC 무한도전에서도 봅슬레이 특집편이 있어서 더 익숙한 종목입니다. (출처:MBC)

봅스레이는 스켈레톤, 루지와 동일하게 슬라이딩(썰매) 종목입니다. 누워서 타는 루지, 엎드려서 타는 스켈레톤과 달리 봅슬레이는 썰매 안에 2명 또는 4명이 타는 경기입니다. 스켈레톤과 루지는 브레이크가 없디만 봅슬레이에는 브레이크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스켈레톤에는 방향조절장치가 없지만, 루지의 쿠펜(Kufen)처럼 봅슬레이에는 파일럿이 조종할 수 있는 방향키가 있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종목 구별이 더 쉽습니다. 아래에 사진을 보세요:)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왼쪽부터) (출처:hellopolicy.tistory.com)



각 썰매의 차이를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다 같은 썰매가 아니다! 봅슬레이, 스켈레톤, 루지!



물론 다른 썰매종목(스켈레톤, 루지)와 같은 경기장인, 올림픽 슬라이딩센터에서 경기가 진행됩니다.

올림픽 슬라이딩 센터 (출처:2018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썰매만 구경하는 것보다, 관전 포인트를 이해하시면 조금 더 재미있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에서는, 종목 소개와 관전포인트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보는 것과 다르다! 실제 주행영상


실제 봅슬레이 파일럿 주행영상을 보시면, 얼마나 박진감 넘치는 스포츠인지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선수가 느낄 긴박감을 갖고 관전한다면, 같이 손에 땀을 쥐면서 스릴 넘치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일럿 선수의 입장이 되어서 실제 트랙을 구경해보세요! (출처: Olympic Channel)


이 사람들이 괜히 우는게 아닙니다. (출처:MBC)




1. 얼음 위의 F1, 슈퍼카, 봅슬레이!


육상에 F1이 있다면, 얼음 위에는 봅슬레이가 있습니다. (출처:F1)


봅슬레이는, "얼음 위의 슈퍼카, 봅슬레이"라는 별칭이 있습니다. 봅슬레이의 썰매는 F1의 ‘머신’과 같습니다. 봅슬레이는 100m 남짓 되는 스타트 구간에서 약 170㎏ 무게의 썰매를 힘껏 밀어 출발합니다. 스릴 넘치는 F1처럼, 봅슬레이도 박진감 넘치는 경기가 진행됩니다.

자동차와 봅슬레이 속도와 공기역학을 고려하는 설계과정이 유사하기 때문에 자동차 회사들이 봅슬레이 개발 및 지원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각 회사들은 자사의 첨단기술을 홍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봅슬레이 국가대표팀의 썰매를 제작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


페라리는 이탈리아 팀의 봅슬레이를, 맥라렌은 영국팀 썰매를, 독일 BMW는 미국대표팀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첨단기술의 집약체인 봅슬레이는 2인승 1억~1억5000만원, 4인승 2억원 정도합니다.




2. 세부종목 구성

봅슬레이의 세부종목은 2인승 남자, 2인승 여자, 4인승 세가지로 구성됩니다.

2인승은 파일럿(Pilot, Bobsleigh Driver)과 결승선 통과 후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맨(Brake Man)이 한팀을 이룹니다. 4인승은 출발할 때 썰매를 박차 가속을 더하는 푸시맨(Push Man)이 추가됩니다.




3. 선수 포지션별 역할

각 선수 포지션에 따른 역할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딱 한번만 정리하면, 정말 쉬운 내용입니다.


1. 파일럿(Pilot) : 스타트 할 때에 맨 먼저 타는 선수로, 봅슬레이의 앞 자리에 앉아서 썰매가 넘어지거나 코스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핸들을 조종합니다.

2. 브레이크맨(Brakeman) : 스타트할 때 마지막까지 봅슬레이를 미는 역할과 골인점에서 브레이크를 잡는 경기자를 말한다. 브레이크는 직선과 정지시에만 인정되고, 커브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푸셔(Pusher) : 4인승에서 푸셔 2명은 스타트할 때엔 썰매를 밀고, 주행 중에는 몸을 틀어 썰매가 뒤집히지 않고 중심을 잡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체중이 무거운 선수가 푸셔를 주로 합니다.


각 포지션별 역할을 복습해보세요:) (출처: 다음백과)


올림픽 봅슬레이의 역사를 보면, 포지션별 역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썰매 앞에 운전대(휠)이 보이고, 파일럿이 조종하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1회대회때는모든 선수들이 앉아서 시작했지만, 점차 썰매를 밀어주는 푸시맨의 역할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영상을 보시면 됩니다!

봅슬레이의 역사입니다! (출처: Olympic Channel)



포지션별 역할을 이해하면 재미있게 볼 수 있지만,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경기를 못 보는 것도 아닙니다. 부담갖지 마세요!




관전포인트!

경기 관람시에는 썰매 자체보다는 썰매 주행을 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제 본격적인 관전 포인트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봅슬레이는 세가지 관전포인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스타트 기록입니다. 두 번째는 주행능력(트랙 적응력)입니다. 마지막으로, 선수간 팀워크를 보아야 합니다!


1. 스타트:

2인승의 브레이크맨 그리고,

4인승의 푸시맨/브레이크맨

봅슬레이는 스타트가 가장 중요합니다. 스타트 이후 트랙에서는 주행속도는 비슷하기 때문에 스타트 구간기록에서 최종 순위가 달라집니다. 스타트에서 0.1초가 늦어지면, 최종시간에서 0.3~0.4초 늦어질 수 있습니다. 스켈레톤에서와 마찬가지로 봅슬레이는 스타트가 정말 중요합니다! 썰매가 무거울수록 스타트 속도가 느려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봅슬레이 선수들은 썰매를 가볍게 만들고, 자신의 몸무게를 늘립니다.

원윤종, 서영우 선수입니다. 이제 왜 선수들이 동글동글한지 조금 이해가 됩니다^^ (출처:중앙일보)


2. 주행능력(트랙 적응력):

파일럿!

봅슬레이에서 파일럿은 썰매 안쪽에 있는 두 개의 조종간으로 앞날의 방향을 바꾸는데, 곡선 구간을 충돌이나 감속 없이 빠져나오는게 파일럿의 주행 능력입니다. 봅슬레이 파일럿은 최대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코너링을 하기 위해서 각 코스에 적응해야합니다. 특히 트랙에서 봅슬레이가 공중에 뜨거나, 벽에 부딪히면 주행속도가 줄어듭니다. 0.01초 차이로 승부가 달라지는 종목인 만큼, 주행속도의 감소는 최종순위를 떨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파일럿의 주행능력에 따라서, 어떤 팀은 전복(크러시)이 되기도 하고, 1등이 되기도 합니다. 2014소치 동계올림픽 봅슬레이 4인승 경기 영상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썰매가 뜨거나 벽에 부딪히면 바로 주행속도가 감소하여, 최종 순위가 떨어지게 됩니다. (출처: Olympic Channel)




3. 팀원간의 팀워크!

봅슬레이 팀은 '운명공동체'입니다. 시속 130km가 넘는 썰매의 긴박감 속에서 각자 역할을 잘 감당해야합니다.


이제 남은건, 서로를 믿고 최선을 다하는 일 뿐(출처: MBC)


 2인승에서는 브레이크맨과 파일럿의 역할분담, 4인승에서는 브레이크맨, 파일럿, 푸시맨의 역할분담이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대한민국 봅슬레이 4인승 국가대표 선수입니다. 서영우·원윤종·김동현·오제한·전정린(왼쪽부터) (출처:뉴스1)


봅슬레이 주행은 브레이크맨의 감속으로 끝나게 되는데, 이 때에 실수하지 않기 위해서 집중해야합니다. 물론, 올림픽에서 브레이크맨의 실수로 전복되는 일이 흔하지 않습니다. 한편, 4인승에서는 푸시맨이 썰매가 원심력에 의해서 코스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썰매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역할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서 파일럿의 주행이 의도대로 갈 수 있느냐가 결정됩니다.

2,3번째 앉은 푸시맨들이 원심력으로 썰매가 바깥으로 나가지 않게 무게중심을 잘 잡아주어야 안정적인 썰매 조종이 가능합니다! (출처: 2018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특히 주요 커브를 돌 때에 푸시맨과 브레이크맨이 파일럿의 조정에 맞게 무게중심을 잘 잡아야합니다. 원심력이 강해서 트랙 바깥으로 나가려는 힘이 강할 때에는, 푸시맨들이 아래쪽으로 머리를 낮춥니다. 그리고 가속이 필요할 때에는 파일럿과 같은 방향으로 헬멧이 1자가 되게 맞춥니다.

코너를 돌 때에 파일럿 뒤의 선수들이 몸의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잡고 있는 것을 봐주세요! (출처: 뉴시스)
가속을 내고 속도손실을 줄이기 위해 헬멧을 1자로 되게 만드는 장면입니다. (출처: BBC)


아래 링크에서 루지, 스켈레톤 종목의 관전 포인트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기대 많이 해주세요! :)


루지, 관전포인트 핵심정리!

스켈레톤, 관전포인트 핵심정리!


(*상단 타이틀 배경 이미지 출처는Getty Images, 2018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루지, 관전포인트 핵심정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