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혜영 Jul 20. 2021

게으름의 시간

'미라클 모닝'과 '기적의 아침'


일요일 늦은 저녁, 무턱대고 집을 나섰다. 온종일 아무것도 하지 않아서 뭐라도 해야 할 것 같았다. 정확히 말하면 아무것도 하지 않은 건 아니다. 커피도 마셨고 간단히 밥도 먹었다. 빨래도 했고 설거지도 했고 바닥을 뒹굴며 책도 조금 읽었다. 낮잠도 잤다. 오랜만에 푹 쉬기로 작정한 날이었지만 밖이 조금씩 어두워지기 시작하자 죄책감이 밀려왔다.

                                    

‘온종일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말은 ‘생산적인 활동’을 하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언젠가부터 생산적인 활동을 하지 않으면 시간을 낭비했다는 생각이 들곤 했다. 돈 버는 일, 목표를 향해 다가가는 일, 창조적인 일을 하지 않으면 마음이 불안해졌고 의미 없이 하루를 날려버린 자신을 탓하기에 이르렀다.    

        

머리로는 휴식과 재충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의미 없다고 여겨지는 것들에서 진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아주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현실에 부딪혀 살아갈 때는 기준이 엄격해진다. 그날 하루를 마감하며 생산적인 활동과 비생산적인 활동의 대차대조표를 나도 모르게 만들고 있다. 헛되어 보냈다고 여겨지는 날에는 화장실에서 뒤처리를 안 하고 나온 것 같은 기분에 휩싸인다. 시간을 의미 없이 흘려버린 대가로 삶이라는 배가 좌초에 부딪히진 않을까 두려워진다. 


불안한 마음속에 숨겨진 깊은 욕망을 들여다본다. 알랭 드 보통이 말했듯이 나의 불안도 현대 사회의 ‘사회적 지위(status)’와 관련되어 있다. ‘내가 나를 어떻게 보느냐’가 아니라 ‘세상이 나를 어떻게 보느냐’가 더 중요해진 것이다. 세상의 시선에서 더 가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며 허송세월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의지력 부족과 천성이 게으른 탓에 목표 집중적으로 살지도 못하면서 마음은 늘 조급하다. 남들 보기에 그럴싸한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고 싶다는 집착이 발동된다.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동사적 행위보다 번듯한 명사적 지위에서 의미를 찾으려 할 때, 게으름의 시간은 불안을 잉태한 비생산적인 활동이 되어 버린다.


명상공동체 플럼 빌리지(plum village)에는 일주일을 기준으로 매일매일 정해진 일정이 있다. 새벽 예불을 하고, 걷기 명상을 하고, ‘쓰레기를 어떻게 꽃으로 만들 수 있을까?’와 같은 화두로 토론을 하고, 수북이 쌓인 낙엽을 치우기도 한다. 그 가운데 인상적이었던 것은 일주일에 하루, ‘게으름의 날(lazy day)’이다. 게으름의 날에는 공식적으로 정해진 아무런 일정이 없다. 자기 마음대로 쉬고 싶으면 쉬고, 놀고 싶으면 노는 날이다. 게으름을 피운다고 뭐라고 하는 사람은 없다. 아니, 마음껏 게으름을 피워야 하는 날이다. 


게으름의 날, 내가 만난 플럼 빌리지의 스님들은 새벽 예불도 하지 않고 느긋하게 아침식사를 즐겼다. 하루 종일 쉬면서 예쁜 단풍잎을 줍거나 산책을 하고 노래를 불렀다. 수행자의 삶을 떠올릴 때 게으름은 반드시 피해야 할 덕목이라 여겼던 나에겐 낯선 풍경이었다. 게으름이 만들어내는 여유가 일상을 새로운 리듬으로 채우는 것 같았다. 그들은 무언가가 될 필요가 전혀 없어 보였다. 그 순간 자신이 서 있는 그 자리에서 있는 그대로 평화로웠다.        

              

생각해보니 플럼 빌리지에서 돌아와 세상과 타협해가면서 그때의 느낌들을 완전히 잊어버린 채 살아왔다. 글을 쓰는 감각에 온전히 집중하기보다 이름 있는 작가가 되는 데에 집착했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연결된 느낌을 느끼기보다 일의 성공 후 얻을 수 있는 이득을 계산했다. 나라는 존재감을 획득하기 위해 명예와 성공을 좇는 마음은 매일매일이 바쁘고 불안하다. 한 순간도 여유를 부릴 틈이 없다. 쉬어도 쉬는 게 아니다. 많은 것을 내려놓았다고 생각했는데, 마음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더 많은 것을 붙들고 있었다.        


이제 나에게 기꺼이 게으름을 허해야겠다.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는 자유를 주고 싶다. 생산적이라는 개념을 적용해 따져보아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멍 때리는 일은 남는 장사다. 생각이 멈춰진 뇌야말로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데 최적이라고 하니 말이다. 


돌이켜보면 좋은 아이디어들은 빈둥빈둥 게으름을 피우던 시간들 속에서 탄생했다. 아무런 대가 없이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영화를 보고 낮잠을 자고 산책을 하던 평범한 날들 속에서 위대한 서사의 프롤로그가 시작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세상은 '미라클 모닝'으로 분주하다. 새벽 4시 반에 하나둘씩 불빛이 켜지고 남들보다 빨리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이다. 그들이 저만치 앞서 갈까 봐 불안해지는 것도 사실이지만 중심을 잡고 나만의 리듬을 찾아가야겠다. 


이른 새벽에 일어나면 모기향에 취한 모기처럼 맥을 못 추는 나는 일단 아침잠을 더 자는 달콤한 게으름을 택하련다. 남들이 일찍 일어나 운동을 하고 책을 읽는 시각, 깊이 단잠을 자다가 영감을 주는 꿈이라도 꿀 지 누가 아는가. 그런 날이 온다면 개운하게 잠에서 깨어 새벽녘에 꾸었던 꿈을 얼른 받아 적어야지. 꿈을 꾸지 않아도 상관없다. 마음껏 게으름을 피운 아침, 푹 자고 일어나 모닝커피 한잔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그 자체가 '기적의 아침'이 될 테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