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 출신 트립 호스트로 경험한 에어비앤비를 회고하다
트립 호스트로 에어비앤비를 경험한 지 5개월가량 되었다. 그간 미국, 호주, 독일, 싱가포르 등을 포함한 10여 개국 게스트들을 만났다. 이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모습, 이들 나라의 일상과 문화, 각자의 일과 여행 경험 등 폭넓은 주제를 나누어 왔다. 추석 연휴를 기점으로 그간 진행해왔던 트립을 국적, 주제, 에피소드, 서비스 기능 측면에서 이야기해보겠다.
가장 많이 참여했던 게스트 국적은
지금까지 50여명의 게스트를 맞이했다. 이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미국인이다. 아무래도 한국의 고궁 문화를 둘러보는 일정이기에 문화가 다른 미주권/유럽권 여행객의 수요가 높다. 해당 권역 여행객에서 미국인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그렇지 않나 싶다.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인을 제외하면 호주, 싱가포르, 멕시코 등이 뒤를 잇는다.
게스트들이 관심 있던 주제는
덕수궁 야경투어를 시작했을때에는 한국 근대사를 생생하게 들려주자는 포부가 있었지만, 지금은 의미가 퇴색(?)되었다. 막상 게스트들은 역사에 대한 상세한 해설에서 흥미를 잃는 눈치였다. (여기에 내 얄팍한 지식도 한몫했지만,,) 최근에는 덕수궁 안에서는 궁궐의 개괄적인 구조, 온돌 시스템, 상징물 등 눈에 직접 보이는 소재를 위주로 해설하고, 트립의 대부분을 한국의 교육, 업무 문화, 미디어, 스포츠 등 게스트마다 관심 있는 소재를 내가 알고 있는 수준에서 설명해준다. 오히려 후자에서 게스트들이 흥미와 공감을 느꼈다.
가장 인상 깊었던 에피소드는
이 글을 쓰며 예약 내역을 살피다보니 모든 게스트마다 나누었던 대화와 장면들이 떠올랐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을 꼽자면 8월 말 서울에 어마한 비가 쏟아졌던 저녁이 아닐까 싶다. 정말 하늘에 구멍이 뚫리듯 폭포수가 쏟아졌다. 갑작스러운 폭우를 온몸으로 맞으면서도 웃음을 잃지않던 게스트들이 참으로 고마웠다. (어쩌면 모두가 실성을,,) 가까스로 식당에 도착하고 멋쩍었던 나는 '한국인은 비 오는 날 막걸리를 즐기는 여유가 있다'이라는 이야기로 조용히 막걸리를 주문해주었다. 참으로 고생이 많았지만 그만큼 모두가 돈독해졌던 저녁이었다.
호스트-게스트 연결고리를 잇는 에어비앤비
에어비앤비의 강점은 '사람 대 사람'으로 '호스트와 게스트'의 연결고리를 만든다는 점이다. 여기에 3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트립 페이지의 'About Your Host'이다. 여기는 호스트, 즉 필자에 대한 소개를 작성한 영역이다. 인상적인 점은 트립 페이지의 최상단에 위치해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트립에서 호스트의 중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필자가 작성한 아일랜도 워킹홀리데이 경험, 서비스 기획 이력을 먼저 묻는 게스트도 있었다.
둘째, 리뷰에서 해당 게스트와 호스트만 볼 수 있는 비공개 피드백이다. 마치 게스트하우스에 남기는 방명록처럼 둘만의 특별한 경험을 떠올려주는 매개체와 같았다. 셋째, 현지 일상을 공유한다는 에어비앤비의 브랜드 파워로 게스트들도 대체로 한국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존중을 지녔다. 식당에 들어서면 어떤 행동이 예절에 어긋나는지, 술을 따르고 받을때에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하는지를 관심있게 살핀다.
빠른 기능 개선과 높은 리뷰 작성률
에어비앤비가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호스트를 해보니 몇몇 기능적 아쉬움이 눈에 띄었다. 가령 모바일로는 예약 가능한 날짜 설정이 되지 않거나, 각 날짜의 예약인원 현황 표기를 너무 간소화시켰다는 점 등이다. 그럼에도 유연하고 빠른 기능 개선으로 앞서 언급한 단점을 상쇄하고 있다. 에어비앤비의 가장 놀라운 점은 참여한 게스트의 70% 이상이 리뷰를 작성한다는 것이다. 현금성 포인트 적립을 제공하는 쇼핑몰의 리뷰 작성율도 10%도 넘기 힘든데 대단한 수치가 아닐까 싶다. 서비스 기획자로서 에어비앤비가 게스트에게 리뷰를 요청하는 메커니즘을 배우고 싶다.
앞으로도 호스트로서 새로운 사람들에게 한국을 소개하고, 필자도 그들을 통해 세계를 간접여행하는 경험을 이어가고 싶다. 세상은 넓지만 직장인으로서 주어진 시간과 자원은 참으로 한정적이다. 죽기 전에 가본 국가보다 가보지 못한 국가가 많겠지.. 그렇기에 비행기가 아닌 '사람'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여행수단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