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에세이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etter Feb 16. 2024

끝인가요 후회만 남은 사랑

홍대광이 부른 '긴 하루'다. 원곡은 이승철.

어제는 발렌타인 데이였고, 크리스마스에도 몰랐던 외로움을 느꼈다. 그래서 사진첩을 뒤적이다가 지금으로부터 5년 전 사진을 봤더니 그때도 눈이 내렸더라. 그래서 반복되지만 돌아오지 않는, 사랑에 대해 적어야겠다. 


신형철은 말했다. '사랑은 능력이다'. 10년 전쯤 읽었을 땐 감흥이 없었다. 줄이 그어져 있지 않다. 나는 그때 사랑하고 있었을까? 진보는 결핍에서 자란다. 나는 거기서 멈췄다.


능력 없는 사람에게 세상은 가혹하고 어느 하나 저절로 되는 것 없다. 그래서 시도한다. 이제부터 실험이라고 하자. 실험에 들어가기 전 예비 보고서를 작성하듯, 우리는 사랑이라고 말하기 전에 떠올린다. 이 사랑의 목적과 의의를, 그리고 끌을. 


언제부터 사랑하게 됐는지, 왜 사랑하는지, 어떻게 사랑할 것인지 이유를 나열하고 방법을 고민한다. 그리고 실험을 할지 말지 결정한다. 그런데 이 실험에 허락이 필요한 것일까? 그래서 이 사랑의 실험이 정확하길 원한다. 두 번째 실험은 없기 때문이다. 다시 신형철의 글을 꺼낸다. 


어떤 사람도 상대방을 정확하게 사랑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확하게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고통을 느낀다. "정확하게 사랑받고 싶었어". 이것은 장승리의 두 번째 시집 <무표정>에 수록돼 있는 시 '말'의 한 구절인데, 나는 이 한 문장 속에 담겨 있는 고통을 자주 생각한다.


정확하게 사랑받지 못한 이의 고통은 사랑한 자의 잘못이다. 실험이기에 정확할 수 없고, 그것 역시 사랑이기에 한 번으로 끝나야 한다. 같은 사랑은 없다. 생각 없이 사랑할 수 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생각은 태어난 다음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숨을 뿐이다. 


그래서 오늘 퇴근길에는 사랑했다 이별한 사람처럼 홍대광이 부른 '긴 하루'를 들었다. "끝인가요 후회만 남은 사랑 처음으로 돌아갈 순 없나요". 후회는 사랑이라는 실험의 결과 보고서다. 이 실험은 성공한 것일까? 실패한 것일까? 무엇이었든 간에 정확한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 돌이켜 생각하면 사랑을 믿은 적이 있다는 고백이 어처구니없게 느껴진다.

매거진의 이전글 '행복하지 않다'고 말해도 되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