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적인 내 삶의 모습을 그리고 '그 모습이 아니면 내 삶은 아직 미완성이야', '그게 아니면 안 돼'라는 강박이 있었다. 이런 강박은 필연적으로 '목표 세우기'를 수반했다. '이상'이라는 단어의 뜻에 걸맞게 내 목표는 늘 붙잡히지 않는 곳에 있었고,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를 향해 발버둥 치는 동안 살아간다는 것이 참 힘들게만 느껴졌었다.
얼마 전 브런치에 올린「기대에서 자유로워지기」라는 글에서 이야기했듯, 내 현재의 삶을 받아들이고 '인생이 이러이러해야 해'라는 기대를 내려놓고, 또 지금 현재 내가 가진 삶을 사랑하는 방향으로 삶의 방향성을 다시 잡아야겠다고 다짐했었다. 그러던 중에 유튜브에서 한 영상을 시청하게 되었다.
영상을 요약하자면 뚜렷한 '목표'를 세워 성공 or 실패 두 갈래로 나뉘는 상태에서 고통받기보단, 자신만의 '시스템'을 만들어 행동을 유지하라는 것이다. 여기서 시스템이란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행동 원칙'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목표는 멀리 있지만 행동은 가까운 곳에 있다.
영상에서는 더불어 '열정'의 함정(열정은 과대평가되어 있다)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영상 밑 한 댓글의 정리를 참고해서 이야기하자면, 열정은 에너지를 가져다줄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는다. 정신적인 부분의 열정(정신적인 열정만 과하게 가져간다면, 오히려 금세 지쳐버릴 수도 있다)보다는 물리적인 부분에서 가시적인 것의 변화에 중점을 두라고 말한다.
그래서 요즘엔 시스템을 하나하나 만들어 가고 있다. 그전에 일단 내가 원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봤다. 나는 크게 보면 '성장', 그리고 '다양한 경험', '나를 드러냄(표현)' 등을 원했다.
그에 맞게 행동원칙을 정했다. 첫 번째는, 혼자가 아닌 '같이' 하기. 내가 하고자 하는 것들을 같이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찾는 것이다.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통해 배운 것이 있다. 혼자 하려고 하면 의지는 배로 들고, 지속성 및 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강제성 부여하기. 너무 부담스럽지 않으면서도(그러려면,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이어야 한다) 적당한 긴장감을 부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나를 계속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이 원칙들에 따라 최근 행동한 것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 번째로는 여러 모임에 등록했다. 대본 리딩 모임, 글쓰기 모임, 러닝 모임에 등록했다. 두 번째 원칙에 따라 행동한 것은 피아노 학원에 등록한 것, 그리고 '책 쓰기 프로젝트'에 지원한 것이다.
오늘부터 30일 동안, 매일 오전 7시마다 글감을 제공받고 그에 해당하는 글을 24시간 내로 올리면 한 권의 책을 만들어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구체적인 목표가 아닌 시스템을 통해 움직이니 순간순간을 더 잘 느끼며 그 순간에 훨씬 더 잘 집중할 수 있게 되었고, 전체적인 긴장도 및 불안도가 많이 줄어들었다.
지금은 아쉽게도 절판되어 볼 수 없지만, 예전에 인상 깊게 읽었던《목표가 독이다》라는 책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무조건적인 목표 지향적 삶의 경직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오늘은 퇴근 후 지금 브런치 스토리에 글을 하나 작성했다. 이제 피아노 학원 갔다가, 책 쓰기 프로젝트 글 한 개 더 쓰고 나서 하루 마무리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