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종문 Jun 23. 2016

Hydroponics(수경재배)기술03-DFT

스마트 온실(식물공장)에서의 수경재배기술 03 : 담액수경(DFT )

https://brunch.co.kr/@jupiter/52

에서 Hydroponics(수경재배) 기술의 종류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였습니다.


대부분  스마트 온실(식물공장)에 사용하는 재배방식을 이야기할 때 Hydroponics(수경재배) 방식을 이야기합니다. 특히 순수수경(Water Culture)만이 스마트 온실(식물공장)의 재배방식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저는 스마트 온실(식물공장)에 사용되는 재배방식은 정해져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스마트 온실(식물공장)에 대한 정의를 보면

https://brunch.co.kr/@jupiter/5

"식물공장(스마트 온실)이란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을 통해 유입하는 등 외부와 차단 정도가 높은 공간에서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환경요소(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양분 등)를 인공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식물의 안정적인 계획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곳이다."


정의를 보면 스마트 온실(식물공장)에는 어떤 재배방식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다만 수경재배방식이 토경재배방식에 비해 미생물의 오염 위험이 적고 환경관리가 편리하기 때문에 수경재배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은 수경재배방식 중 스마트 온실(식물공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담액수경(DFT)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담액수경(DFT)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한 그림입니다.

수경재배방식에 대한 그림은 검색하시면 많이 보실 수 있으니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담액수경 개념도


담액수경(DFT)은 그림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정의되고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림에서 식물의 뿌리가 담긴 배양액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4~15cm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담액수경(DFT)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물에 항시 담겨 있는 식물의 뿌리에 산소의 공급입니다. 뿌리에 산소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양액의 용존산소량을 늘이거나 양액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켜야 합니다.

용존산소량은 산소와 배양액 사이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많아지는데, 배양액을 순환만 시키면서 재배할 경우에는 배양액으로 용해되는 산소의 양보다 식물이 소비하는 양이 많아서 배양액의 용존 산소량이 줄어들어 식물이 산소 부족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래서 오존(O3) 수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게 됩니다.

배양액에 용존 산소량이 충분하다고 하더라도 배양액이 유동하지 않으면 뿌리 주위 배양액의 산소는 고갈되어 버리므로, 배양액을 유통시켜서 뿌리 주변의 경계층을 얇게 하여 식물의 산소 흡수가 원활해지도록 해야 합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의 담액수경(DFT) 재배시설입니다.

라온팜의 담액수경(DFT) 재배시설입니다.


참고문헌 :  양액재배, 박권우․ 김영식, 아카데미 서적, 1998 

사진은 온라인으로 검색된 사진입니다. 혹시 문제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삭제하겠습니다.


이전 10화 Hydroponics(수경재배) 기술 02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