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과수원옆미술관 Apr 08. 2022

게으름입니다

나는 자주 게으름과 무기력 사이의 모호함 때문에 곤란해지곤 한다. 나는 게으른 걸까, 무기력한 걸까? 고민하다가도 이런 고민이 실질적으로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되새기고 생각을 그만둔다. 그리고 하염없이 방바닥에 눌어붙은 게으른 인간이 된다.


가만히 누워 있다 보면 어느 순간, 내 삶이 오후의 긴 그림자처럼 늘어져 정지된 것만 같다. 그리고 녹슨 벽지의 곰팡이를 뚫어지게 바라보며 내 안의 자아는 곰팡이만큼 작아진다.

그러곤 내 안에 굴러가는 질문을 내버려 둔다. 나는 항상 왜 이럴까 하며 좌절하고 미루기를 반복하는 이유를 병리적으로, 심리적으로, 갖은 방법으로 이해해보려는 시도를 계속한다.     


완벽주의 성향이 있는 사람들이 완벽하게 해내고 싶은 마음에 미루는 일이 많다고 하는데, 그런 성향이 내 안에 있다고 어느 정도 납득을 하다가도 아니, 실은 모든 사람들이 이 정도의 성향은 가지고 있는 게 아닐까? 하고 내 안의 아주 조그만 완벽주의를 바라보곤 한다. 조그맣다.     



되돌아보면 내가 고등학생일 때만 하더라도 아프니까 청춘이었고, 삶의 비밀(시크릿)은 뭉뚱그려 말하자면 강력한 긍정의 힘을 믿고 상상하는 힘이었다. 긍정의 믿음은 그걸 실현시킬 수 있을 만큼 강력해야 했다. 나는 모범적인 책벌레여서 그 말들을 굳게 믿으며 다른 사람에게 책을 권하기까지 했으니, 지금 와서는 대체 무슨 짓을 한 걸까 싶은 마음도 들지만 각자 알아서 잘 받아들였겠거니 싶다.


내 긍정의 신화는 불가항력적인 사고에 휩쓸려 한순간에 폭삭 무너졌다. ‘폭력은 부정성에서뿐만 아니라 긍정성에서도 나올 수 있다’(한병철, 『피로사회』)는 걸 나는 조금 늦게 알았다. 할 수 있다고 모든 게 가능하다고 믿어왔지만 내가 실패를 겪었을 때, 그만큼 자책으로 돌아오기 쉬웠다. 우리는 모든 게 가능하기 때문에 내가 성공하지 못하면 내 탓이 되고 마니까. 그러면 사회나 계층 구조적인 문제가 개인의 탓으로 치환되기도 한다. 모두들 이제는 잘 알고 있겠지만 그래도 이 피로한 사회에서 내 탓을 하는 사람을 너무 많이 만나서 줄곧 말해주고 싶다. 자책하지 마세요. 괜찮아요. 실패는 당신 탓이 아니에요.

     

줄곧 나는 대체 게으른 걸까? 무기력한 걸까? 사이에서 갈팡질팡했다. 그러다가 내가 게으른 나 자신을 지나치게 비난한다는 걸 깨달으면서 천성이 게으른 인간이라면 마음도 게을러야 하는 게 아닐까, 하고 어느 정도는 무기력에 가까운 상태로 마음이 기울었다.     

그런데 지금은 내가 무기력하든 게으르든 별 상관 없다. 오히려 내가 ‘천성이 게으른’ 인간이었으면 싶다. 한없이 바쁜 사회에서 여유를 느낄 줄 아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충분히 그럴 싹이 보인다.)     


뜬금없지만 오늘은 강아지들과 산책을 하다가 문득 발밑을 내려다봤다. 따뜻한 봄날이어서 연둣빛 새싹들이 파릇파릇 올라와 괜히 발밑이 간지러운 기분이 들었다. 풀밭에는 쌀알만 한 풀꽃들이 다복하게 어우러져 있었다.

잔잔하게 피어 있던 하얀 애기괭이밥꽃과 보라색 들꽃, 노란 민들레가 어우러져 있는 풍경이 날 아름답게 했다. 어떤 작은 것들은 눈으로 담기에 너무 소중해서 사진에는 담기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작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이 있듯이,

내가 너무 작게 느껴지는 날에도 슬프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도 있다.     



작가의 이전글 회피형 인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